[사설]국토부·서울시의 '깡통전세 정보' 이렇게 달라서야
2022. 9. 16.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집값이 전셋값보다 빠르게 하락하자 수도권에서 '깡통전세'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낮은 전세금 때문에 서민, 청년세대가 많이 세 들어 사는 연립·다세대주택 등 빌라값이 급락해 세입자들이 전세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커졌다.
국토교통부가 14일 내놓은 전국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 자료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빌라의 평균 전세가율은 66.5%로 깡통전세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집값이 전셋값보다 빠르게 하락하자 수도권에서 ‘깡통전세’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낮은 전세금 때문에 서민, 청년세대가 많이 세 들어 사는 연립·다세대주택 등 빌라값이 급락해 세입자들이 전세 보증금을 떼일 위험이 커졌다. 그런데 깡통전세 피해를 줄이겠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정보가 제각각이어서 오히려 세입자의 혼란만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14일 내놓은 전국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 자료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빌라의 평균 전세가율은 66.5%로 깡통전세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지난달 23일 서울시가 낸 자료에서 성북구 빌라는 전세가율이 87%로 위험도가 상당히 높았다. 20여 일 차이를 두고 나온 국토부와 서울시의 전세가율이 20%포인트 넘는 차이를 보인 것이다. 종로·양천·강서·구로구 등도 두 조사의 전세가율 차이가 10%포인트 이상이었다.
집주인이 받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 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에 육박하거나, 넘어서는 것이 깡통전세다. 전세가율이 너무 높으면 집주인이 대출을 못 갚아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보증금 전액을 되찾지 못할 위험성이 커진다. 보증금을 날릴 가능성까지 따져봐야 하는 세입자에게 입주하려는 셋집의 전세가율이 70%냐, 80%냐는 대단히 큰 차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조사 시점이 서로 다르고, 전세가율 계산 방법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 세입자들의 판단만 더 어렵게 만들었다.
서민들에게 전세 보증금은 사실상 전 재산이다. 일부라도 잃게 되면 생계의 위협을 느끼게 된다. 정부는 보증금 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안전하다고 하지만 전세계약을 맺은 뒤 집주인의 세금 체납 사실 등이 드러나 보험 가입을 거절당하는 일도 자주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요즘처럼 부동산 거래가 실종된 상태에서 집값이 급락할 때에는 세입자들이 집값, 전셋값 수준을 가늠하기 대단히 어렵다. 국토부는 전세가율 조사 방법, 시점을 지자체들과 서둘러 일치시켜 세입자의 판단에 실제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집주인의 세금 체납 기록 등을 세입자들이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완 조치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토교통부가 14일 내놓은 전국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 자료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빌라의 평균 전세가율은 66.5%로 깡통전세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지난달 23일 서울시가 낸 자료에서 성북구 빌라는 전세가율이 87%로 위험도가 상당히 높았다. 20여 일 차이를 두고 나온 국토부와 서울시의 전세가율이 20%포인트 넘는 차이를 보인 것이다. 종로·양천·강서·구로구 등도 두 조사의 전세가율 차이가 10%포인트 이상이었다.
집주인이 받은 주택담보대출과 전세 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에 육박하거나, 넘어서는 것이 깡통전세다. 전세가율이 너무 높으면 집주인이 대출을 못 갚아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세입자가 보증금 전액을 되찾지 못할 위험성이 커진다. 보증금을 날릴 가능성까지 따져봐야 하는 세입자에게 입주하려는 셋집의 전세가율이 70%냐, 80%냐는 대단히 큰 차이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조사 시점이 서로 다르고, 전세가율 계산 방법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 세입자들의 판단만 더 어렵게 만들었다.
서민들에게 전세 보증금은 사실상 전 재산이다. 일부라도 잃게 되면 생계의 위협을 느끼게 된다. 정부는 보증금 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하면 안전하다고 하지만 전세계약을 맺은 뒤 집주인의 세금 체납 사실 등이 드러나 보험 가입을 거절당하는 일도 자주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요즘처럼 부동산 거래가 실종된 상태에서 집값이 급락할 때에는 세입자들이 집값, 전셋값 수준을 가늠하기 대단히 어렵다. 국토부는 전세가율 조사 방법, 시점을 지자체들과 서둘러 일치시켜 세입자의 판단에 실제 도움이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집주인의 세금 체납 기록 등을 세입자들이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보완 조치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美 “안보위협 M&A 차단”… 中과 거래 韓기업, 美투자 중단될수도
- [이기홍 칼럼]보스 아닌 리더의 길… ‘3만’만 피하면 된다
- [단독]대통령실 “방통위-여가부, 세종시 이전 추진”
- 尹 “태양광 이권 카르텔”… 文정부 에너지사업 의혹 규명 나설듯
- 이준석 “與, 대통령 순방중 제명 나설 것”… 與 “국민도 이젠 지쳐”
- 300차례 스토킹에도 영장 기각… 고소한 女역무원 보복살인
- 환율 1400원 위협에도… 정부 “물가 10월 정점”
- 아파트로 날아든 돌덩이에 초토화된 집안…무슨 일?
- [단독]“반지하 가구에 비상벨 설치, 침수 등 위급상황 대비”
- 8월 취업자 80만7000명↑…22년 만에 최대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