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게임' 에미상에도 웃지 못하고.. 위기의 넷플릭스 "이러다 다 죽어"

권이선 2022. 9. 15. 21: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TT 업계 1위의 '이유있는 추락'
'오겜' 빼면 에미상 성적표 낙제점
2021년 44개 부문 트로피 '대조적'
작품상도 HBO·애플TV 등에 뺏겨
2022년 1분기 11년 만에 가입자 감소
국내 오리지널 작품 줄줄이 혹평
"인기작 공식 답습.. 독창성 실종"
양적팽창만 몰두.. 구독자들 외면

‘오징어 게임’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방송계 최고 권위를 지닌 ‘에미상’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지난해 9월 공개되자마자 세계적 규모로 일으켰던 1년간의 신드롬 마침표를 찍었다. ‘오징어 게임’ 제작진과 배우들은 ‘축제의 날’을 즐겼지만 정작 작품을 제작한 넷플릭스 시상식 당일 종합 성적표는 낙제 수준이다. 후발주자에 한참 뒤처지는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2022 에미상은 ‘넷플릭스 위기설’이 확인된 자리였다.

◆1년 만에 ‘왕좌’ 자리 내준 넷플릭스

지난 3일부터 12일까지 세 차례에 걸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된 에미상 크리에이티브 아츠와 프라임타임 부문 시상식에서 넷플릭스가 받은 상은 총 26개. 본상 격인 프라임타임 부문에서는 단 세 개 트로피만을 가져갔다. 그나마 ‘오징어 게임’이 2개 부문(감독상, 남우주연상)에서 수상하며 넷플릭스 체면을 살려준 셈이다.

이는 본상에서만 12개 상을 받아 총 38관왕이 된 HBO에 크게 뒤처진 성적이다. 지난해 44개 부문을 석권해 HBO(19개)를 압도하며 ‘세계 1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의 위엄을 보여준 것과는 상반된 모습이다.

양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밀렸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더 크라운(The Crown·드라마 부문)’, ‘퀸스 갬빗(The Queen’s Gambit·미니 시리즈 부문)’ 등으로 최고 영예인 작품상을 각 부문에서 고루 가져갔지만 올해 승자는 HBO였다.
HBO는 드라마 부문에서 ‘석세션’으로, 미니 시리즈 부문에서는 ‘화이트 로터스’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코미디 시리즈 부문에서는 또 다른 후발 주자 애플TV플러스 ‘테드 래소’가 작품상을 차지했다. 지난 3월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애플TV플러스는 ‘코다’로 가장 먼저 오리지널 영화를 내놓고 꾸준히 오스카 후보작을 배출했던 넷플릭스를 따돌리며 OTT 영화 최초 작품상의 영예를 안았다.

◆안전한 길 택한 넷플릭스… ‘제2의 오겜’ 나올 수 있을까

지난달 29일로 25주년을 맞이한 넷플릭스는 여전히 2억2000만명 가입자를 보유한 ‘부동의 1위’ OTT다. 그러나 올 1분기 11년 만에 처음으로 가입자 수가 감소한 데 이어 2분기에는 97만명이 이탈하는 등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 때문에 넷플릭스는 지난해 말부터 약 15% 내외 ‘기습 요금 인상’을 단행하고, 올해 4분기부터 콘텐츠 시작 전과 중간에 광고가 붙는 저가 요금제를 내놓는 등 수익 개선책에 골몰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에미상 시상식 결과는 넷플릭스 위기가 후발주자 추격, OTT 업계 정체 등 외부 요인 탓만은 아니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오징어 게임’을 비롯해 ‘브레이킹 배드’, ‘종이의 집’ 같은 실험적 작품을 내놓으면서 구독자를 끌어모았던 넷플릭스가 양적 팽창에만 몰두하면서 질적 성장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흥행 노하우를 터득하면서 정작 실험성과 독창성을 놓쳤다는 평가다.
실제로 넷플릭스는 작품 다양화를 통한 세계 시장 공략의 전진기지로 삼았던 우리나라에서도 ‘오징어 게임’ 흥행 이후 지난 1월부터 이달까지 ‘안나라수마나라’, ‘블랙의 신부’, ‘모럴센스’, ‘야차’, ‘카터’ 등을 줄줄이 내놓았으나 ‘지금 우리 학교는’, ‘소년심판’ 정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혹평을 피하지 못했다. 특히 지난 6월 공개된 ‘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은 넷플릭스 최대 흥행작으로 손꼽히는 스페인 원작의 한국판으로 전 세계 이목을 집중시켰으나 미흡한 연출력으로 원작 팬마저 등을 돌리고 말았다. ‘모범가족’과 ‘서울대작전’ 역시 ‘오자크’나 ‘베이비 드라이버’ 등을 연상시키지만 완성도는 한참 모자란다는 냉담한 평가를 받았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성공 노하우를 터득한 넷플릭스가 한국 시장에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최근 콘텐츠 기획에서는 안전한 선택을 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시도보다는 성공한 콘텐츠를 리메이크하거나 시즌을 확장하고, 인기 있는 장르 공식을 답습하는 등 콘텐츠 고유의 독창성을 챙기지 못하는 모습”이라며 “기존 작품을 연상케 하는 콘텐츠로는 OTT 선택의 폭이 넓어진 구독자들을 붙잡을 수 없다”고 말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