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여왕 애도를 거부하는 사람들.. 대체 왜?

이경원 기자 2022. 9. 15. 18: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국 최장기 군주, 엘리자베스 2세에 대한 추모 열기가 뜨겁습니다.

하지만, 이웃 나라 아일랜드에서는 축제 분위기가 포착됐습니다.

영국은 아일랜드인을 소작농으로 만들어 수백 년 곡물을 수탈했고, 모국어인 게일어 사용을 금지시키기도 했습니다.

이 사건은 영국군이 가톨릭 시위대에 총격을 가해 14명이 목숨을 잃었던, 아일랜드 현대사 최대 비극이기도 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국 최장기 군주, 엘리자베스 2세에 대한 추모 열기가 뜨겁습니다.

하지만, 이웃 나라 아일랜드에서는 축제 분위기가 포착됐습니다. "리지(여왕의 애칭)가 관짝에 들어갔다"(Lizzy’s in a box)는 비아냥, 축제 때나 있을 법한 차량들의 단체 경적 소리도 나왔습니다.

아일랜드의 반영 감정, 바로 800년에 걸친 식민 지배 역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영국은 아일랜드인을 소작농으로 만들어 수백 년 곡물을 수탈했고, 모국어인 게일어 사용을 금지시키기도 했습니다. 우리 일제 침략기와 비슷합니다. 특히, 북아일랜드 지역에서 벌어진 참사, 피의 일요일 사건이 여왕 재임 기간인 1972년에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이 사건은 영국군이 가톨릭 시위대에 총격을 가해 14명이 목숨을 잃었던, 아일랜드 현대사 최대 비극이기도 합니다.

아일랜드뿐만 아닙니다.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국가들에서는 반 애도 분위기가 읽힙니다.

세대가 바뀌고, 과거는 잊혀가고 있지만 식민지 국가의 설움과 응어리는 여전하다는 상징적 장면일 겁니다. 과거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찰스 3세 시대가 직면한 또 다른 과제가 남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획 : 손승욱, 취재 : 이경원, 편집 : 김인선, 작가 : 김효진, 인턴 : 정수아·강윤서, CG : 전해리·권혜민)

이경원 기자leekw@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