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 없는 인적성검사.."통합역량모델이론(NCT)으로 뽑으면 인재가 보인다"

양연호 2022. 9. 15. 16: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적성과 업무성과 연관성 떨어져
코로나 이후 주춤했던 채용시장에 오랜만에 대기업을 중심으로 하반기 채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에 MZ세대 구직자들의 취업준비를 위한 발걸음도 분주해지고 있다. 최근 취준생들 사이에 '무전무업(無錢無業)'이라는 말이 유행이라고 한다. 취업준비에 돈이 많이 들어가 돈이 없으면 취업도 할 수 없다는 자조 섞인 신조어다.

한 구인구직 사이트가 작년 2030 취준생 1002명을 대상으로 월평균 취업준비 비용을 조사했다. 과반수가 넘는 56.6%가 취업준비를 위해 월평균 약 30만원 이상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항목은 바로 '인적성검사'로 인적성 문제집은 2만원대, 인적성 인터넷 강의는 20만원대였다.

학계에서는 인적성을 활용한 채용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서울대 경영학과 이경묵 교수는 "미국의 경우 채용할 때 인적성검사를 거의 보지 않지만, 한국에선 블라인드 채용을 강조하는 분위기 때문에 오히려 인적성검사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인적성검사의 부적합성을 입증하는 연구결과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올해 8월 개최된 2022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발표된 '기업인재선발 도구와 성과와의 상관도 연구'에서 인적성과 업무성과는 연관성이 없으며, 심지어 반비례하는 경우도 있다고 밝혀졌다.

뉴로경영위원회 위원이자 마이다스 역량센터 이현주 수석연구원은 "인적성검사 등 선발도구를 활용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러나 인적성 검사는 과장되거나 왜곡된 응답과 학습 효과로 인해 성과역량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수인재를 분별해 낼 수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탁월한 성과를 내는 인재를 판별하기 위한 기업의 끈질긴 노력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적성 검사가 직무성과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실증적인 증거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면서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대안을 찾는 추세다. 문제 유출이나 대중화된 참고 서적, 지원자들의 연습과 암기로 인한 변별력 감소로 실효성이 없는 검사에 시간과 비용을 더 이상 투입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실제로 9월 초 하반기 채용을 앞두고 100개 기업이 참석한 마이다스의 채용진단 워크숍에서 사전에 진행한 설문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295명의 인사담당자 중 무려 47%가 '인적성을 통해 성과역량을 확인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워크샵에 참석한 현대모비스 김두호 책임매니저는 "현재 제도로는 지원자의 역량을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인재상을 기반으로 평가항목들을 정하지만, 이는 매우 주관적이고 정성적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매번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발해서 물어본다고 해도, 사교육 시장이 워낙 활발해 문제와 답들이 지속적으로 공유되므로 제대로 된 역량을 확인할 수 없다. 역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정교화된 지표를 개발해 적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한편 기존의 인적성검사가 지닌 현실적 문제를 개선하고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마이다스 자인연구소의 ‘통합역량모델이론(NCT: Neuro Competency model Theory)’이 최근 HR업계에서 화제다. NCT는 ‘자연주의 인본경영’이라는 합리와 과학기반의 본질경영을 중심으로 물리학, 생물학, 신경학, 심리학을 연계 및 융합하여 사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개발한 혁신적인 역량모델이다.

NCT에서 역량은 ‘유사 자극과 반응 메커니즘이 반복강화로 형성되어 고정화된 신경적 경향성’으로 사회적 동물로 진화한 인간이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힘으로 정의된다. 이를 바탕으로 긍정성, 적극성, 안정성, 대인력, 전략력, 조절력, 통합력 등 7가지 기반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 제공 = 마이다스 자인연구소]
마이다스인은 지난 2018년 국내 최초로 NCT를 기반으로 ‘AI역량검사’를 개발해 NCT를 실제 채용과정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AI역량검사에 포함된 뇌신경과학 게임은 총 9가지로 구성되었는데, 각 게임을 통해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의 7가지 영역과 관련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다. 게임으로 뇌에 자극을 가하고,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을 반복 수집함으로써 무의식적인 행동패턴과 역량 등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코딩테스트만으로 확인할 수 없는 개발자의 핵심 역량과 실무 문제 해결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역량검사인 PHS(Programmer Hiring System)를 개발해 기업들의 고충을 해결해 주고 있다.

마이다스 자인연구소 최원호 실장은 “AI역량검사의 근간이 되는 NCT의 궁극적인 목적은 결국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인 ‘역량’을 제대로 발현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며 “기업들이 단편적인 채용도구 활용을 넘어 사람중심의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와 궁극적으로 ‘역량 기반의 사람중심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이 비전”이라고 말했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