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시각] 논란 부른 기아의 ‘평생 할인’

김아사 기자 2022. 9. 15.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14일 본지 A1면에 실린 ‘기아 노조 “평생 차값 30% 할인, 계속해달라”’ 기사에는 7000여 개의 댓글이 달렸다. 반응의 정도는 제각각이지만 내포된 뜻은 한 가지로 수렴된다. 퇴직자에게 2년마다 30% 차값 할인을 평생 제공하는 것은 지나친 특혜이며, 이는 기아 노조의 이득이 아니라 소비자의 손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평생 사원증’이라 불리는 퇴직자 할인이 차량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뜻이다. 자동차 업계 전문가들도 고개를 끄덕이는 부분이다.

지난 7월 14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2022부산국제모터쇼' 에서 기아자동차 관계자가 대형 전기 SUV 컨셉트 EV9을 공개하고 있다. 2022.7.14/뉴스1

현대차와 기아에는 10만명 넘는 직원이 근무하고 이 중 50대 이상 사원은 절반에 육박한다. 현대차 근무자 7만673명의 평균 근속 연수는 18년 2개월, 기아에 근무하는 3만4104명은 22년 2개월에 달한다. 한 해 1000여 명씩 쏟아지는 50대 이상 퇴직자가 누적되고 있는데 이들을 상대로 손해를 보고 차량을 팔고 있는 것이다.

실제 현대차와 기아의 매출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79%가량이다. 5000만원짜리 차를 팔 때 4000만원가량이 원가란 뜻이다. 그러나 퇴직자들은 이 차량을 2년마다 3500만원에 구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회사의 손해는 누적되고 이는 결국 자동차 가격 상승으로 메워질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공분이 일어나는 건 최근 완성차 시장 상황과도 맞닿아 있다. 코로나와 반도체 수급난 등 공급망 이슈가 겹치며 차량 가격은 계속해 오르고 있다. 지난해 기준 현대차 평균 차량 판매 가격은 4758만원이다. 2019년 3774만원이던 것이 2년 새 30% 가까이 올랐다. 최근엔 차량 출고 자체가 어려워지며 할인 등 프로모션도 대부분 사라졌다. 중고차 시장에선 신차 가격에 웃돈을 주고 중고차를 사는 기현상도 벌어진다. 손님에게만 야박하다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현대차그룹 안팎에서도 2005년 만들어진 평생 사원증 제도를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러 번 있었다. 당시엔 한 대라도 차량을 더 파는 게 회사에도 반가운 일이었다. 내수 시장에서 판매량 증가를 통해 해외로 진출하는 게 공식이었고 누구도 이견을 달지 않았다. 그러나 사정이 달라졌다. 올해 현대차그룹은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2위를 기록했고 상반기 전체 차량 판매 순위에서도 도요타, 폴크스바겐에 이어 글로벌 톱 3 자리를 차지했다. 제도의 유효기간이 지났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직원들과 퇴직자 입장에선 이런 논쟁이 반가울 리 없다. 그러나 불합리한 복지 제도를 정리하는 것도 노사가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기아 사 측은 이 반대급부로 59세 근로자 기본급의 90%를 주던 60세(정년) 임금을 95%로 올리는 안을 제시했다. 유효 기한이 다한 복지 제도를 어떻게 수정하느냐. 많은 눈이 현대차그룹에 쏠려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