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인플레에 요동치는 대출금리..은행권 "연내 8% 갈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영끌족'에 진입한 직장인 A씨는 최근 한숨이 늘었다.
채권금리가 요동치고 코픽스 금리도 급등하면서, 이 같은 속도라면 올해 안에 8%대 대출금리도 가능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더 심각한 상황으로 보인다"면서 "이 같은 속도로 가다가는 연내 가계대출금리가 8%대로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영끌'했다면 올해부터 소득 절반 갚아야
[이데일리 김정현 기자] 지난해 ‘영끌족’에 진입한 직장인 A씨는 최근 한숨이 늘었다. 급등하는 금리에 소득의 절반 이상을 원리금을 갚는데 쓰고 있어서다. A씨는 “지난해도 DSR 40%에 맞춰 대출하면서, 원리금을 갚고 나면 생활비가 빠듯했는데, 올해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며 “세금 내고 필요경비를 제하고 나면 여유자금이 아예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국정감사를 앞두고 예대금리차를 좁히기 위한 은행권의 노력에 주춤하는가 했던 대출금리가 다시 위쪽을 바라보고 있다. 채권금리가 요동치고 코픽스 금리도 급등하면서, 이 같은 속도라면 올해 안에 8%대 대출금리도 가능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3.57~6.43%로 나타났다. 지난달(8월) 말 3.57~6.35%와 비교하면 상단은 소폭 올랐지만, 하단은 동일한 수준이다.
개별 은행에 따라 신용대출 금리가 같은 기간 오히려 하락한 경우도 있었다. 정부가 예대금리차 축소를 압박하면서 은행들이 대출금리 인상을 자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흐름이었다. 14일 주담대 혼합형 금리는 4.33~6.22%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4.17~6.30%와 비교해 하단은 올랐지만 상단은 0.08%포인트 오히려 내렸다.
그러나 다시 은행권 대출금리가 급등할 것으로 보인다. 간밤 발표된 지난달(8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상회하면서 채권시장이 추가 긴축 모드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미국 CPI는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0.1% 하락을 점쳤는데 오히려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 것이다. 당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팔라질 것이라는 우려에 채권금리가 요동쳤다.
국내 채권시장으로까지 여파가 컸다. 주요 은행 신용대출 금리가 벤치마크하는 은행채(AAA·무보증) 6개월물 금리는 3.339%로 전거래일(3.325%) 대비 1.4bp(1bp=0.01%포인트) 상승했다. 주담대 혼합형 금리가 따르는 은행채 5년물 금리는 같은 기간 4.114%에서 4.144%로 3bp 올랐다. 당장 내일부터 신용대출과 주담대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에 더해 오는 15일 발표되는 9월 코픽스 금리도 다시 레벨을 높일 것이 거의 확실한 상황이어서 주담대 변동형 금리도 대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가계대출 금리가 종류를 불문하고 위쪽을 향하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가능한 대출을 모두 일으킨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다) 차주들의 시름은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금리 변동형 주담대를 받은 차주의 경우 이미 상황이 심각하다. 1년 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한도를 모두 채워 대출을 실행했다면, 현재는 연소득의 40%가 아니라 절반 정도를 대출 상환에 사용해야 한다.
가령 연소득이 5000만원인 직장인이 지난해 9월 14일 주담대를 변동금리로 3.0%에 빌렸다면, 현재는 2%포인트 가량이 상승한 5.0%를 감당해야 한다. 당시 최대로 빌릴 수 있었던 대출금은 3억9500만원인데, 현재도 같은 금액을 대출 중이라면 DSR은 51%로 계산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인플레이션이 생각보다 더 심각한 상황으로 보인다”면서 “이 같은 속도로 가다가는 연내 가계대출금리가 8%대로 치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정현 (thinker@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놓고 "넌지시 건넨 돈 받은 적 있으십니까?" 묻자...
- “중학생 딸 성폭행하고도 ‘증거있냐’던 소년, 괴물이었습니다”
- [단독] '50대 여배우 고소' 오모씨 "아직 사랑해…기자회견할 것"(인터뷰)
- '센 놈' 또 온다…태풍 '난마돌', 다음주 한반도 직접 영향권
- 흔들리는 네·카…하루에만 시총 2조4000억원 증발
- 尹, '갸루피스'부터 사포질까지...Z세대 기능올림픽 선수들 만나
- [누구집]김나영, 집 팔고 갈아탄 꼬마빌딩은 어디?
- "드레스 하나에 600시간" 루이비통, 정호연 '에미상' 맞춤 의상 제작
- '하르키우 패퇴' 후 푸틴에게 남은 선택지는?…확전 or 협상
- [누구템]‘패션외교’서 여야 정쟁 대상으로…두 金여사의 보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