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 못하는 줄 알았는데 내가 성인 ADHD?'.. 병원 찾는 성인 ADHD 급증

이정한 2022. 9. 14. 17: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대 A씨는 지난해 무기력과 우울감을 느껴 정신과 의원을 찾았다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았다. A씨는 “공부도 잘하는 편이었고 내가 생각한 ADHD 증상과는 맞지 않아 처음엔 당황했다”고 한다. 의사는 시간관념 없이 하루가 뒤죽박죽이고 무언가를 꾸준히 못 하는 A씨에게 ADHD 검사를 권했다. A씨는 “처음엔 검사를 꺼렸지만 치료를 시작하고 일상이 훨씬 좋아졌다”며 “증상이 의심되면 주변에 검사받기를 권한다”고 했다.
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환자.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몇 년간 ADHD 판정을 받은 성인 환자가 늘고 있다. 대중매체 등을 통해 성인 ADHD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덩달아 늘어서다. 의료계도 “ADHD 검사받으러 오는 성인들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고 전한다. 전문가들은 ADHD의 경우 도박·게임·알코올 중독 등과 연관될 수 있고 치료를 받으면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빠른 진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세 이상 ADHD 환자수는 2017년 7748명에서 지난해 3만5042명으로 4.5배로 증가했다. 성인 ADHD 환자 중 20∼3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남성의 비율이 높다. 그러나 최근 2030 여성 환자의 증가세도 가파르다. 같은 기간 2030 여성 환자는 1922명에서 1만3549명으로 4년 새 7배 이상 급증했다. 

전덕인 한림대성심병원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ADHD는 남성 유병률이 높지만 여성들이 같은 질병이더라도 병원을 많이 찾아서 나타난 현상”이라며 “최근의 성인 ADHD 환자 증가는 진단이 늘면서 환자가 ‘발굴’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현장에서도 이런 현상을 체감한다. 서울 강남의 한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직원 김모씨는 “ADHD 검사를 안 해왔는데 환자가 늘고 처방해야 하는 경우도 생겨서 두 달 전부터 검사를 시작했다”며 “10∼40대가 주로 찾아오는데 미디어를 보고 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예컨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은영 박사와 사연자 간 상담을 보고 ‘어쩌면 나도?’하고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전 교수는 “과거엔 ADHD를 질병이 아닌 성격으로 보고 자꾸 고치라고만 했지만 정보가 많이 공유되면서 40대 이상도 많이 찾아온다”며 “ADHD인 줄 모르고 자책만 하던 60대 환자가 치료받고 일의 효능이랑 자존감이 높아졌다고 만족했던 적도 있다”고 했다.

ADHD는 아동기에 나타나는 소아정신과 질환이다. 선천적 요소에 의한 신경발달장애로 보는 견해가 많다. 보통 아동기 인구의 8% 안팎에서 발병하는데 이 중 절반가량은 성인이 돼서도 증상이 이어진다. 대부분의 성인 ADHD 환자는 증상이 자연 소멸되지 않아 치료를 계속하거나, 어릴 때 진단받지 않고 늦게서야 발굴된 경우다. ADHD 증상은 만12세 전부터 나타나기 때문에 성인이어도 진단 시 병·의원에서 초·중·고교 생활기록부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ADHD는 크게 과활동·충동형과 주의력결핍형으로 구분된다. 소아·청소년의 ADHD 증상으로는 과활동이 많지만 성인에게선 주의력 저하와 충동성 증상이 주로 나타난다. 집중력 저하뿐만 아니라 △쉽게 욱하고 말실수가 많아 자주 오해를 사거나 △우산 등 물건을 잘 잃어버리고 △모임에 늦는 등 시간 관리를 못 하고 △정리정돈을 못 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백명재 경희대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ADHD 자체가 위험한 병은 아니지만 ADHD 환자는 대체로 우울증이나 공황장애 등 공존질환을 갖고 있고, 알코올·도박·게임 중독에 빠지는 경우도 잦다”며 “성인은 약물치료와 함께 시간 관리 등 인지행동 치료를 병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ADHD는 약물치료에 빨리 반응하기 때문에 이른 시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한 기자 ha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