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마감]환율, 1395.5원까지 급등..美 물가충격에 원화 급락

이윤화 2022. 9. 14. 16: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달러 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1390원대로 올라섰다.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물가 충격이 통화긴축 공포감으로 번졌고, 달러화 초강세 흐름이 다시 나타난 영향이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미국 물가 충격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로 환율이 1390원대를 넘어섰는데, 오후들어서는 일본의 구두개입에 따른 엔화 강세 영향 등에 상승폭을 일부 반납한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3년 6개월 만에 1390원대 돌파 1400원 목전
미국 8월 물가 전년비 8.3%, 시장 예상 상회
페드워치 9월 FOMC 울트라스텝 기대도 34%
일본 엔화 반등해 그나마 달러 강세 주춤해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원·달러 환율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에 1390원대로 올라섰다. 8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물가 충격이 통화긴축 공포감으로 번졌고, 달러화 초강세 흐름이 다시 나타난 영향이다. 국내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도 하루 만에 순매도 흐름으로 전환하면서 1%대 낙폭을 보였다.

사진=AFP

14일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373.6원) 대비 17.3원 뛴 1390.9원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전일 대비 19.4원 오른 1393.0원에 출발한 뒤 20원 안팎의 상승폭을 나타내며 1390원대에서 등락하다가 오전 중 1395.5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후 일본의 구두개입에 따른 엔화 반등, 중국 위안화 되돌림 등에 영향을 받으며 상승폭을 20원 아래로 유지했다. 이날 환율은 고가·종가 모두 2009년 3월 30일 기록한 1397.0원, 1391.5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환율은 미 달러화의 초강세 흐름, 이에 기댄 달러 매수 수요 우위가 이끌었다. 달러인덱스는 간밤 미국 8월 CPI 발표 이후 110선까지 올랐다가, 현지시간 이날 오전 3시께엔 109선으로 하락한 상황이다. 전일 대비 0.16포인트 하락한 109.56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달 미국 CPI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8.3%를 기록해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다우존스가 각각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8.0%)를 웃돌면서 긴축 공포가 번졌다. 페드워치에 따르면 다음주 열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무려 1.0%포인트 올리는 ‘울트라스텝’ 기대도 34%에 달하는 상황이다.

다만, 달러인덱스 상승세가 잠시 주춤한 것은 엔화가 144엔을 웃돌며 급격한 약세를 보이자 일본이 강력한 구두개입에 나선 영향이다. 간다 마사토 재무성 재무관은 이날 “미국 물가 쇼크로 엔화 변동성이 커지자 이에 대응할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마련돼 있다”고 경고했다. 달러·엔 환율은 당국의 개입 이후 0.89%나 급락하며 143엔대에 거래되는 중이다.

국내증시는 글로벌 위험회피 분위기를 이어받아 1%대 낙폭을 보였다.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투자자가 1640억원 순매도 하면서 전일 대비 1.56%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도 외국인이 60억원 가량 팔고 기관이 1750억원 가량 순매도 하면서 1.74% 내렸다.

김승혁 NH선물 연구원은 “미국 물가 충격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로 환율이 1390원대를 넘어섰는데, 오후들어서는 일본의 구두개입에 따른 엔화 강세 영향 등에 상승폭을 일부 반납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에서 거래된 규모는 96억32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윤화 (akfdl3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