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리병 속의 별천지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 문화재 된다

도재기 기자 2022. 9. 14. 14: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빼어난 경관·역사성 등으로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예고
경남 하동군의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이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예고됐다. 사진은 최치원의 글씨로 전해지는 각석 ‘쌍계석문(雙磎石門)’. 문화재청 제공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더불어 역사성도 두드러지는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이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이 된다.

문화재청은 “경남 하동군의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은 경치가 아름다워 예로부터 문인묵객(文人墨客)들이 예찬하며 수많은 시문과 여행기 등을 남겨 역사적·인문학적 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이라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14일 밝혔다.

지리산 쌍계사는 통일신라시대(남북국시대)인 724년(성덕왕 23년) 옥천사로 창건된 뒤 정강왕 때 쌍계사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것을 벽암대사가 1632년(인조 10년)에 중건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유학과 문학에 큰 족적을 남긴 최치원은 쌍계사 입구의 일주문에서 대웅전에 이르기까지 점차 확장되는 영역의 모습을 ‘호리병 속의 별천지(壺中別有天)’로 묘사하기도 했다.

쌍계사에는 ‘진감선사탑비’(국보)와 ‘쌍계사 대웅전’(보물) 등 20여점의 문화재가 있다. 또 불일폭포로 가는 길을 비롯해 쌍계사 일대에는 불일암, 국사암, 환학대(喚鶴臺), 완폭대(翫瀑臺), 쌍계석문(雙磎石門) 등 각종 유적과 각석, 최치원과 진감선사 행적 등이 남아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불일폭포. 문화재청 제공

불일폭포는 높이 60m에 이르며 높낮이가 큰 물의 흐름, 우렁찬 물소리, 주변의 기암괴석, 계곡, 식생이 어우러져 웅장하면서도 빼어난 절경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폭포 아래 소(沼)에 살던 용이 승천하면서 청학봉과 백학봉을 만들고 그사이로 물이 흘러 폭포가 됐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불일’이라는 명칭은 고려 제21대 왕 희종이 보조국사 지눌(1158~1210)에게 ‘불일보조(佛日普照)’라는 시호를 내린 것에서 유래한다. 당시 지눌이 수도하며 머문 곳 일원에 ‘불일’이라는 이름을 붙여 불일폭포, 불일평전, 불일암이라 부른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명승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할 계획이다.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쌍계사 대웅전. 문화재청 제공

도재기 기자 jaek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