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도 갚기 어려운 한계기업, 2년새 24% 증가
지난해 한계기업 수가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2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이란 영업 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상황이 3년 이상 계속되는 기업으로,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이 같은 결과를 담은 ‘기업구조조정 제도 개선 방안’ 보고서를 공개하고 “금리 인상 기조가 당분간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 증가가 우리 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김윤경 인천대 교수팀이 2017~2021년 외부감사를 받는 비금융기업 2만2388사를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 수는 총 2823사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2283사) 대비 540곳(23.7%)이 늘었다. 기업 규모별 한계기업 증가율은 중견·대기업이 15.4%(389사→449사), 중소기업이 25.4%(1891사→2372사)로 중소기업에서 한계기업 증가세가 더 뚜렷했다. 2019년 대비 한계기업이 많이 늘어난 업종은 항공·운송업(300% 증가)과 음식점·주점업, 음료제조업(각각 200%씩 증가)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국 증시(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와 미국, 일본, 홍콩, 중국 증시의 한계기업 비중도 비교했다. 한국의 경우 전체 상장 기업 대비 한계기업의 비중이 17.1%로, 홍콩증권거래소(28.9%)에 이어 둘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윤경 교수는 “한계기업은 경제 효율성을 감소시켜 국가 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기업 부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업 구조조정 지원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에스프레소] 워싱턴 DC의 ‘크고 흰’ 건물… 백악관이 아니었다
- [데스크에서] ‘바보들의 행진’ 비웃는 하이닉스
- 14일 동안 ‘폐점런’을 부른 위스키… 과연 그 맛은? [김지호의 위스키디아]
- [윤희영의 News English] 27년간 하루도 쉬지 않은 임시직의 꿈
- [최준영의 Energy 지정학] 우크라·발트3국의 ‘헤어질 결심’… 전쟁 전후 러시아와 전력망부터
- [그 영화 어때] 청량 로맨스 보러 갔다 열불이 난 이유, 영화 ‘청설’
- [2030 플라자] “이걸… 학폭으로 봐야 하나요?”
- 췌장 낭종 추적 관찰하면 암 조기 발견 가능
- [한은형의 느낌의 세계] 침대에서 떨어졌다
- 산소 포화도 너무 높으면 오히려 사망률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