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美 바이오까지 자국산 우선.. 韓 BBC 동시타격 대책 세우라
2022. 9. 13.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자국 내 생산을 확대, 지원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준비 중이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에 이은 미국 내 바이오산업의 제조 기반 강화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핵심 품목의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고 한다.
미국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과학법'은 대중 신규 투자를 제한한 가드레일 조항으로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양국의 투자, 수출 제한 조치 또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자국 내 생산을 확대, 지원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준비 중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은 신약과 바이오 연료 등의 생산 설비와 인력, 인프라 확충 방안을 담은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 경제의 주력 산업이자 핵심 미래 산업인 이른바 ‘BBC(배터리 바이오 반도체)’ 분야가 모두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전략이 몰고 오는 폭풍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는 것이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에 이은 미국 내 바이오산업의 제조 기반 강화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핵심 품목의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고 한다.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내 정책적 차원에서 추진되는 것이기도 하다. 문제는 한국 주요 기업들에 불똥이 튀고 있다는 점이다. 수출의존도가 높고 중국과 미국을 1, 2위 교역국으로 갖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생존이 달린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미국 내 바이오 생산시설 확대는 위탁생산에 강점을 갖고 있는 한국 바이오업체들의 국내 생산 경쟁력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1대당 1000만 원 가까운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된 한국 자동차에는 이미 비상이 걸린 상태다. 미국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과학법’은 대중 신규 투자를 제한한 가드레일 조항으로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국익 앞에서는 동맹관계도 밀쳐놓는 게 냉정한 국제사회 현실이다. 미국이 7조 원대 한국 투자를 검토하던 대만 반도체 기업을 설득해 자국에 투자하게 만드는 상황도 벌어졌다.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양국의 투자, 수출 제한 조치 또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대외 협력관계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국익을 극대화할 경제안보 전략을 짜야 한다. 미 의회와 행정부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정보력 강화 조치가 시급하다. 한국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게 될 사안에는 당당하게 할 말을 하는 공격적인 교섭력도 발휘해야 할 것이다. 통상질서의 지각변동이 벌어지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넋 놓고 있을 여유가 없다. 이대로는 미국에 뒤통수를 맞았던 ‘인플레감축법의 실패’를 두 번 세 번 되풀이하지 말란 법이 없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에 이은 미국 내 바이오산업의 제조 기반 강화는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핵심 품목의 글로벌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시도라고 한다. 제조업 부활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국내 정책적 차원에서 추진되는 것이기도 하다. 문제는 한국 주요 기업들에 불똥이 튀고 있다는 점이다. 수출의존도가 높고 중국과 미국을 1, 2위 교역국으로 갖고 있는 한국 경제에는 생존이 달린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미국 내 바이오 생산시설 확대는 위탁생산에 강점을 갖고 있는 한국 바이오업체들의 국내 생산 경쟁력을 위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1대당 1000만 원 가까운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된 한국 자동차에는 이미 비상이 걸린 상태다. 미국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과학법’은 대중 신규 투자를 제한한 가드레일 조항으로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국익 앞에서는 동맹관계도 밀쳐놓는 게 냉정한 국제사회 현실이다. 미국이 7조 원대 한국 투자를 검토하던 대만 반도체 기업을 설득해 자국에 투자하게 만드는 상황도 벌어졌다.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가열되면서 양국의 투자, 수출 제한 조치 또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대외 협력관계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국익을 극대화할 경제안보 전략을 짜야 한다. 미 의회와 행정부 동향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정보력 강화 조치가 시급하다. 한국 기업들이 불이익을 받게 될 사안에는 당당하게 할 말을 하는 공격적인 교섭력도 발휘해야 할 것이다. 통상질서의 지각변동이 벌어지고 있는 중요한 시기에 넋 놓고 있을 여유가 없다. 이대로는 미국에 뒤통수를 맞았던 ‘인플레감축법의 실패’를 두 번 세 번 되풀이하지 말란 법이 없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김정은 ‘참수작전 조짐만 보여도 핵공격’ 명시… 위협수위 높여
- ‘김정은 밀착의전’ 새로운 여성 또 등장
- 與 내홍 이번주 분수령… 오늘 비대위 출범, 내일 가처분 심문
- 이준석, 내일 가처분 신청 심문도 참석할 듯
- 檢안팎 “이재명의혹, 이제부터 진짜 수사”… 野 ‘김건희 특검’ 맞불
- 美, 바이오도 규제… “한국, 위탁생산 타격” vs “中견제로 반사이익”
- 8월 못 돌려받은 전세금 1089억 사상 최대
- “70년 내내 헌신적 결단… 바위 같던 여왕 그립다”
- ‘위기마다 확신 준 퀸’… 나라를 하나로 묶은 겸손-탈권위 리더십
- 그들은 가족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