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땅끝 가는 길..따뜻한 엄마의 정원이 숨어있다

조근영 2022. 9. 12. 1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남 해남의 땅끝 가는 길, 송지면 소죽리의 작은 정원이 입소문을 타고 오가는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고 있다.

땅끝 바다로 찬란히 떨어지는 노을을 배경으로 엄마의 정원도 저녁 무렵의 풍경이 가장 아름답고, 따뜻하다.

땅끝마을 바닷가에 위치한 작은 정원이라는 독특한 컨셉에 정원에 가득 담겨있는 부부의 정성에 심사위원들도 매료됐다고 한다.

땅끝 해남에 가는 길목, 힘들 때면 엄마의 품처럼 따뜻한 엄마의 정원을 찾아 희망을 채워가는 것은 어떨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년 전남도 예쁜정원 콘테스트 개인정원 특별상
최희석·김용숙 부부가 10년간 가꿔온 작은 정원
엄마의 정원 [독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해남=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전남 해남의 땅끝 가는 길, 송지면 소죽리의 작은 정원이 입소문을 타고 오가는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고 있다.

이름하여 '엄마의 정원'.

이 마을 주민인 최희석·김용숙 부부가 10년간 가꿔온 개인 정원이다.

일 년 사계절 온갖 꽃들이 피고 지는 정원, 부부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

꽃을 좋아하는 안주인 김용숙 씨가 하나둘 옮겨심기 시작한 꽃들만 수백 종.

소나무며, 석재며 남편인 최희석 씨도 조금씩 도와주던 일손이 이제는 직접 전정을 하며 수형을 가꿀 정도로 전문가가 다 됐다.

"정원에 심어진 나무 하나, 꽃 한그루도 제 손을 거치지 않은 게 없죠. 자식 키우듯 애지중지하면서 정원을 만들다 보니 주변에서 엄마의 정원이라고 이름을 붙여줬어요."

시장에 갈 때마다 조금씩 꽃과 나무를 사서 정원을 가꾼 지 10년째.

조금씩 넓혀가다 보니 지금은 1천평 정도 되는 안뜰이 수목으로 가득 찼다.

정원의 규모가 커지고 외형의 틀도 잡히면서 땅끝이라는 특성을 살려 정원의 전체 모양은 한반도의 지형으로 조성하고 있다.

엄마의 정원 [독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맨 마지막 땅끝의 봉화에는 무궁화를 심었다.

철마다 피는 꽃도 다양하다.

봄부터 꽃잔디, 풍년화, 진달래, 홍산홍, 연산홍, 철쭉 등이 연달아 피었다.

특히 아치 조형물에 큼지막하게 피는 노란 장미는 보는 사람마다 감탄을 자아낼 정도로 화려한 멋을 뽐내곤 한다.

지금은 마지막 여름꽃들이 빛을 발하고 있고, 조만간 각종 국화가 정원을 수놓을 것이다.

송지면 소죽리는 땅끝마을답게 점점이 떠 있는 섬 사이의 일몰이 특히 유명하다.

땅끝 바다로 찬란히 떨어지는 노을을 배경으로 엄마의 정원도 저녁 무렵의 풍경이 가장 아름답고, 따뜻하다.

엄마의 정원은 올해 전라남도 예쁜 정원 콘테스트에서 개인정원 부문 특별상을 받았다.

땅끝마을 바닷가에 위치한 작은 정원이라는 독특한 컨셉에 정원에 가득 담겨있는 부부의 정성에 심사위원들도 매료됐다고 한다.

엄마의 정원은 누구나 들러볼 수 있다.

엄마의 정원 [독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사생활이 걱정될 법도 한데 부부는 정원을 찾는 이들이 오히려 고맙고, 함께 나눌 수 있어 행복하다고 말한다.

최희석 씨는 12일 "땅끝에 오는 분들은 언제라도 들러서 작은 행복을 느낄 수 있는 힐링의 공간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력이 닿는 대로 조금씩 규모를 넓혀서 더 많은 분이 쉬었다 갈 수 있는 정원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다"고 덧붙였다.

땅끝 해남에 가는 길목, 힘들 때면 엄마의 품처럼 따뜻한 엄마의 정원을 찾아 희망을 채워가는 것은 어떨까.

chogy@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