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에 매각된 바이오 기업들

지용준 기자 2022. 9. 12. 06: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사모펀드에 손벌리는 바이오①]'글로벌 진출' '신사업 확대' 명분은 그럴싸한데.. 이면은?

[편집자주]바이오 업계에서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단순한 투자를 넘어 경영권 인수에 나서는 사모펀드가 등장했다. 그동안 바이오 업계 투자는 벤처캐피털(VC)이 주도했다. 최근 자본시장에서 바이오 기업에 대한 신뢰가 깨지면서 VC의 투자 비중은 낮아졌고 그 자리를 사모펀드가 대신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과 신사업 진출을 위한 자금이 필요한 바이오 기업으로선 사모펀드의 러브콜을 외면할 수 없다. 사모펀드와 얽힌 바이오 업계의 현주소와 투자 유의점을 살펴봤다.

사모펀드가 바이오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올 들어 클래시스와 메디포스트, 랩지노믹스가 모두 사모펀드 최대주주 변경 조건으로 사모펀드 자본을 끌어들였다./그래픽=강지호 기자
▶기사 게재 순서
①사모펀드에 매각된 바이오 기업들
②주가 하락세인데… 사모펀드는 왜 바이오를 선택했을까
③"개미는 조심하세요"… 바이오 투자 유의점은?

바이오 기업 인수합병(M&A) 시장에 사모펀드가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달 랩지노믹스는 사모펀드에 경영권을 넘긴다는 소식을 알렸다. 지난 1월 클래시스와 3월 메디포스트에 이은 올해 세번째 사모펀드의 경영권 진입 사례다. 바이오 기업들은 사모펀드 매각 절차에 앞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자금 확보 차원"이라고 밝혔다. 다만 최대주주 지위까지 내주는 상황을 두고 바이오 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경영진(창업자)이 털고 나갔다'는 시각도 적잖게 관찰된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를 가리킨다. 보통 채권, 기업 등에 투자해 주식을 확보한 뒤 배당과 매각 차익을 챙기는 '먹튀' 사례가 잇따랐다.


"최대주주로 모십니다"… 사모펀드 유치한 바이오 기업들


올 들어 8월까지 바이오 기업 3곳이 최대주주로 사모펀드를 유치했다. 분자진단 전문기업인 랩지노믹스는 지난 8월19일 최대주주가 창업자 진승현 대표이사에서 사모펀드 운용사인 루하프라이빗에쿼티주식회사(루하PE)로 변경된다는 소식을 전했다. 루하PE는 진 대표의 보유지분 전체(12.7%)를 약 900억원에 사들이고 3자배정 유상증자에 340억원을, 전환사채(CB)에 600억원을 각각 투자한다. 모든 딜이 순조롭게 완료될 경우 루하PE는 랩지노믹스의 지분 36.1%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된다.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메디포스트는 지난 3월 사모펀드인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크레센도)를 최대주주로 영입했다. 스카이레이크와 크레센도는 메디포스트가 발행한 700억원 규모 CB에 투자하고 700억원 규모의 의결권이 있는 전환우선주(CPS) 등 총 1400억원의 투자를 단행했다. 이와 함께 양윤선 메디포스트 전 대표의 보유 주식 100만1002주 중 40만주를 200억원에 사들였다.

피부·비만 의료기기 전문기업 클래시스는 지난 1월 배인케피탈에 경영권을 넘겼다. 클래시스의 최대주주였던 정성재 전 대표와 그 일가는 지분 60.8%를 베인캐피탈에 넘겼다. 거래 규모만 6700억원에 이른다. 정 전 대표의 지분은 9.9%로 쪼그라들었다.
바이오 기업들이 사모펀드에 최대주주 지위를 내주며 자금을 유치, 글로벌 진출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 인포그래픽은 2022년 바이오기업의 사모펀드 매각 사례./그래픽=강지호 기자


바이오 기업, 사모펀드 유치는 왜?


업계에 따르면 바이오 기업들이 사모펀드를 최대주주로 끌어들인 배경은 '승부수'로 요약된다. 올해 사모펀드에 매각된 바이오 기업들은 하나같이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했다. 대규모 자금을 확보한 만큼 이 돈을 활용해 기업의 외형 확대에 쓰겠다는 취지다.

랩지노믹스는 이번 투자금으로 미국 수탁분석기관인 클리아(CLIA)를 인수해 미국 진단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랩지노믹스 측은 "이번 자금조달로 미국 진단시장에서 공격적인 사업추진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메디포스트 역시 사모펀드로부터 투입된 자금을 북미 지역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 옴니아바이오에 900억원 규모로 투자키로 했다. 클래시스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인프라를 보유한 베인케피탈의 역량을 내세워 해외 마케팅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장기간 이어온 창업자 체제에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겠다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최대주주로 들어선 사모펀드가 기업의 조력자는 물론 신성장동력을 위한 전환점을 마련해줄 것이란 기대다. 양 전 대표는 2000년부터 22년 동안 메디포스트 수장 자리에서 회사를 이끌어왔다. 랩지노믹스는 진 대표가 2002년부터 20년 동안, 클래시스는 정 전 대표가 2007년 창업해 15년 간 회사를 진두지휘했다.



"박수칠 때 떠나자?"… 창업자를 향한 다양한 시각


바이오 기업의 경영권 변동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관찰된다. 기존 바이오 기업의 최대주주가 경영권 방어에 힘쓰지 않고 사모펀드에 넘겼다는 지적이다. 창업주가 스스로 기업의 성장에 한계를 느껴 탈출했다는 주장이다. 경영권을 넘겨준 창업주들은 약속하듯 대표 직함을 떼어냈다. 기존 창업주가 사모펀드와 공동경영을 펼치겠다는 발표는 변명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양 전 대표 역시 메디포스트의 대표직을 유지하며 공동경영을 펼칠 계획이었으나 지난 8월8일 '일신상의 사유'로 대표 자리에서 물러났다. 기업 매각 소식을 발표한 지 6개월 만이었다. 메디포스트는 양 전 대표가 회사에 남아 이사회 의장직을 유지하며 "회사의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사실상 회사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클래시스의 정 전 대표도 베인케피탈에 최대주주를 내어준 지 단 3개월만인 지난 4월 대표이사직에서 내려왔다. 랩지노믹스의 경우 진 대표의 거취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업이 시장에 매물로 나왔을 때 사모펀드가 접촉을 시도한다. 이들이 적대적 M&A를 시도하는 사례는 드물다"면서 "사모펀드의 투자 유치는 명분이고 결국 최대주주가 기업 경영에서 탈출한 것으로 바라본다"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사고 후 신고 늦으면 10만원"… 쏘카, '악조항' 고친다
"장관 친구인데, 사장 바꿔봐"… 검은 커넥션 잡아낸다
태풍에 식은 포스코 용광로 3기… 다시 끓는다
"아들 금반지 녹여 '골드바' 만들어"… 장윤정 고백
강남 50억 집 공개… 김희철, 화장실까지 '올 화이트'
"한국은 중국의 속국"… 전세계 '유명사전' 실화?
마약 혐의 배우는 OOO… 박해진·이무생 "법적대응"
지하에 빗물 조금이라도 차면… 침수대비 지침 신설
'억소리' 나는 유튜버… 상위 1%, 연 매출 12.7억?
"개미는 조심하세요"… 바이오 투자 유의점은?

지용준 기자 jyju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