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같은 듯 다른 북한 추석..하루만 쉬는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에도 우리나라처럼 추석이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음력 8월 15일인 오늘(10일) 북한 주민들도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는다.
북한 주민들도 우리나라 추석 풍습과 똑같이 송편을 먹고, 차례를 지내며, 윷놀이와 같은 민속놀이를 하는 등 크게 다르지 않다.
일부 북한 매체들은 추석 당일 주민들이 조상의 묘소를 찾아가기 전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참배하는 모습 등을 소개하기도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음력 8월 15일인 오늘(10일) 북한 주민들도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는다. 북한 주민들도 우리나라 추석 풍습과 똑같이 송편을 먹고, 차례를 지내며, 윷놀이와 같은 민속놀이를 하는 등 크게 다르지 않다.
사실 북한은 한때 추석이 사라진 적이 있었다. 1967년 5월 김일석 주석이 “봉건자재를 뿌리 뽑아야 한다”며 교시를 내리면서 추석은 단오절과 함께 자취를 감췄었다.
다만 1972년 남북대화가 시작되면서 추석 명절은 부분적으로 부활했다. 이산가족들이 북한에 있는 조상묘의 안부를 물어오면서 성묘를 허용하는 등 민속명절을 부분적으로 부활시킨 것이다. 그러다 1988년에서야 북한은 추석을 민족명절로 규정, 공휴일로 지정했다.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나라는 추석 전후까지 통틀어 3일을 쉬는 반면 북한은 추석 당일만 쉰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북한 사회만의 제도적 배경이 있다. 북한에서는 주민들의 거주 이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북한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여행증 발급이 필요하다. 여기에, 교통사정상 이동시간이 오래 걸려 당일치기로는 고향을 다녀오기가 힘들다. 이에 북한 내에서는 추석의 ‘민족대이동’이라는 개념이 사라졌다. 고향에 가고 싶은 주민들은 3일 연휴가 보장되는 음력 설에 귀향을 하곤 한다.
그 대신, 추석이 되면 주민들은 제사음식을 들고 인근 산으로 올라간다. 북한에는 사람이 죽으면 인근 산으로 가서 매장을 하는 장묘 문화가 남아있다. 일부 북한 매체들은 추석 당일 주민들이 조상의 묘소를 찾아가기 전 김일성·김정일 동상을 참배하는 모습 등을 소개하기도 한다.
다만 그마저도 ‘곡식을 지을 땅도 부족한데 산에 무덤이 너무 많이 생긴다’고 한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화장장 건설과 함께 화장을 지시한 적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주민들에게도 화장문화가 전파돼 납골당 등에서 조용히 추모를 하는 이들이 많다는 전언이다.
권오석 (kwon0328@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말 우연히 만났다"…땀 흘리는 이준석, 포항서 포착
- "'무속 의혹' 김건희, 구약 다 외운다고? 한번 읊어보라" 김용민 고발
- 尹대통령, 케냐 대통령 취임식에 특사단 파견
- "같은 아파트 여학생 납치 시도했지만, 도주 우려 없어…"
- '조선의 사랑꾼' 53세 최성국, 29세 여자친구 공개…"두 바퀴 띠동갑"
- 스티브잡스 딸 아이폰14 풍자.."바뀐게 없다"
- [누구집]오징어게임 스타 ‘이정재’가 사는 고급빌라는 어디?
- "비트코인 더 산다"…1.6兆 손실에도 증자 나선 마이클 세일러(종합)
- 추석 당일에 갯벌에서 남성 시신 ‘일부만’ 발견
- 추석 당일, 주차장서 숨진 채 발견된 여성…"추락 후 차에 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