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차례상 간소화, 주부들 의견은?.."'추석 노동'이란 말 없어져야"

강주영 2022. 9. 8. 09: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제공한 ‘추석 차례상 표준안 진설도’

“가족들이 함께 차례상을 준비하는 것은 이제 당연해졌죠”

26세에 춘천으로 시집와 20년간 상차림을 해온 한상례(46) 씨는 추석을 앞두고 이렇게 말했다. 9일 추석연휴를 앞두고 이른바 ‘명절증후군’이라는 단어를 해소할 수 있는 추석 차례상 간소화 표준화 방안이 발표됐다. 표준화 방안의 주요 내용과 이에 대한 강원도 며느리들의 반응을 함께 싣는다.

■음식 9가지면 차례상 충분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는 지난 5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차례상 표준화 방안을 내놨다. 핵심은 수십가지의 음식을 차릴 필요 없이 9가지면 된다는 것이다. 튀김이나 지진 음식도 빠졌다. 가장 큰 ‘추석 노동’이었던 전 부치기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내놓은 추석 차례상 표준안을 보면, ‘홍동백서’ 혹은 ‘조율이시’등의 순서를 맞춘 차림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예법과 관련한 옛 문헌에 없는 표현이기 때문에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는 것이다. 또 튀김·지진 음식이 빠졌다. 대신 총 9가지를 차림의 기본으로 한다. 송편과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4가지), 술이 올라가면 된다.

이에 대해 성균관 측은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나온다.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성균관 의례정립위는 “음식을 더 올리면 육류나 생선, 떡을 올릴 수 있지만 이 역시 가족간의 합의 아래 결정하는 것”이라며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날 표준화 방안에서는 차례상에 조상 사진을 함께 두는 것도 가능하며, 차례와 성묘의 선후관계는 가족간 의논사항이라는 점도 포함됐다.

 

■차례상 인식조사, 응답자 40% “간소화 필요”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이번에 내놓은 표준안은 이 위원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지난 7월 28∼31일 20세 이상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례문화 관련 인식조사’, 유림 700명을 대상으로 각 한 유림 관계자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의례 전문가와 논의 끝에 내놓은 결과다.

성균관 의례정립위에 따르면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 가운데 ‘차례문화 중 개선점’에 관해 10명 중 4명이 ‘간소화’를 택했다. 특히 20대 응답자 가운데 35%가 ‘남녀 공동 참여’를 개선점으로 꼽기도 했다.

최영갑 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장은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 차례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간 불화가 일어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닐 것”이라며 “이번 추석 차례상 표준안 발표가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 갈등을 해결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 지난 7월 성균관 의례정립위원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진행한 결과 ‘제례문화 인식조사 인포그래픽’

 

■강원도민 “이미 변화 중인 문화 반영”

이미 변화하고 있는 명절문화가 반영된 결과라는 게 시민들의 생각이다. 한상례 씨는 “추석 때마다 평균 4번 정도 상차림을 하는데 그때마다 30~35가지 음식을 준비한다”며 “우리는 옛날부터 해오던 것을 받아들이던 세대이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을 잇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상차림을 남녀 모두 함께 하자는 분위기가 형성돼 성별 구분없이 같이하고 있다”고 변화상을 전했다.

막내 며느리로 명절마다 상차림을 해온 윤 모(49)씨도 “막내 며느리이지만 차례상차림을 혼자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을 고려해 집안 남자들도 준비해 함께 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윤 씨는 “명절마다 상차림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가족간 회의도 한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마다 차림상이 달라서 어느 지역문화에 익숙한지에 따라서 차림이 다른데 이번에 발표된 차림 방식으로 표준화가 되면 상차림에 대한 회의 대신 다른 담소를 나눌 수 있는 기회도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춘천에서 매년 차례를 지내온 40대 김모 씨는 “차례상 간소화는 반가운 소식이다. 차례를 지내는 사람 입장에서도 입에 맞지도 않은 명절음식을 준비하는 것이 금전적으로나 시간상 부담이 크다”며 “차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가족들이 오순도순 모이는 만남 자체가 중요한 것 같다. 크게 격식을 차리지 않고 친척들끼리 평소 자신들이 좋아하는 음식을 하나씩 준비해 올린다면 차례를 준비하는 부담도 크게 덜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