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라이프] 귀지 함부로 파면 뇌염 · 청력 저하까지 올 수 있다

유승현 기자 2022. 9. 4. 20: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습관적으로 귀지 제거하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면봉이나 귀이개로 자칫 귀지를 잘못 파면, 오히려 귀에 염증이 생겨 뇌염으로 번지거나 청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30대 A 씨는 습관적으로 귀지를 제거해왔습니다.

귀가 가렵고 따가우면 염증이 생긴 신호인데 이때 반복적으로 면봉을 사용하다가 청력이 떨어진 사례도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습관적으로 귀지 제거하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면봉이나 귀이개로 자칫 귀지를 잘못 파면, 오히려 귀에 염증이 생겨 뇌염으로 번지거나 청력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유승현 의학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30대 A 씨는 습관적으로 귀지를 제거해왔습니다.

[A 씨/만성 외이도염 환자 : 귓밥이 있는 걸 못 참는 스타일이라서 있으면 파내고, 파내고, 손으로도 파고 면봉도.]

2년 전 어느 날, 귀에 이상신호가 생겼습니다.

[A 씨/만성 외이도염 환자 : 고름이 나오고 간지럽고 잠을 못 자기 시작하고 그러면서 또 더 심해지고. 새끼손가락도 귀에 안 들어갈 정도로 귓구멍이 두꺼워지기 시작하더라고요.]

만성 외이도염으로 진단받아 각종 약을 복용하고, 처방 연고도 발랐지만 효과는 그 때뿐이었습니다.

귀에 손을 대지 않았더니 증상은 점차 호전됐습니다.

올해 학계에 보고된 호주 67세 남성의 뇌 CT입니다.

주변보다 노랗게 보이는 곳이 뇌 뼈에 염증에 생긴 겁니다.

원인은 바로 면봉 솜의 잔여물이었습니다.

이게 귀 안쪽에 염증을 일으키고 귀 뼈를 타고 뇌 뼈까지 퍼진 겁니다.

건강한 사람한테는 매우 드물지만 고령, 당뇨 환자라면 주의해야 합니다.

치사율이 10%나 되기 때문입니다.

귀가 가렵고 따가우면 염증이 생긴 신호인데 이때 반복적으로 면봉을 사용하다가 청력이 떨어진 사례도 있습니다.

[최현승/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과장 : 가려움을 참지 못하고 또 면봉을 쓰시게 되니까 염증이 진행되면 붓기 시작하고 굳은살이 되고 (귓구멍이) 점점 작아져서 딱 막히는 순간 청력이 딱 떨어질 수 있거든요.]

귀에 물이 들어가도 면봉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건조하는 게 좋습니다.

귀지는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많이 생겨 불편하다면 귓구멍 바깥쪽만 가볍게 제거해 피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영상취재 : 김학모·박진호, 영상편집 : 이승열, CG : 최재영)

유승현 기자doctor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