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리] 반지하의 사람들

2022. 9. 3. 08: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며 한국만의 독특한 주거 문화로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던 반지하 그리고 3년 후 영화보다 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이후 서울이 급격한 산업화로 도시의 주택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법이 개정되면서 독립된 거주 형태의 반지하 집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카데미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 등장하며 한국만의 독특한 주거 문화로 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던 반지하… 그리고 3년 후 영화보다 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그것도 대한민국 서울 한 복판에서 말이다.

지난 8월 수도권과 중부지방에 115년만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서울에는 연평균 강수량의 30%가 넘는 물 폭탄이 이틀 사이에 쏟아졌고 전국적으로 사망 14명, 실종 6명, 부상 26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신림동과 상도동의 반지하에서는 순식간에 빗물이 차오른 집 안을 빠져나오지 못한 일가족 3명과 50대 여성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건이 벌어지면서 반지하의 열악한 주거 형태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우리나라 주택사에 반지하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70년대. 당시 정부는 건물을 신축할 때 지하공간 설치를 의무화하였다. 남북 대결이 고조됐던 시기, 주택의 지하 벙커로 조성된 게 바로 반지하. 이후 서울이 급격한 산업화로 도시의 주택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법이 개정되면서 독립된 거주 형태의 반지하 집이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창밖으로 사람들이 지나면 깜짝 놀라요."
"바퀴벌레 있고 쥐들도 나오고 하니까…"

현재 우리나라에는 32만 7,320가구가 반지하에 거주하고 있다. 이 중 96%인 31만 4,000여 가구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지하로 내려가는 비좁은 계단, 한낮에도 불을 켜지 않으면 어두운 실내, 채광도 없고, 환기도 어려운 곰팡이로 가득한 곳 반지하… 심지어 침수의 위험 속에서도 사람들은 왜 반지하에 살고 있는 것일까?

이번 주 SBS <뉴스토리>는 이번 폭우로 재조명된 반지하 주거 문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와 같은 비극이 반복되지 않을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