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톈진시 "코로나 확산 원인, 한국 제품"..교민 불안 확산 [특파원+]

이귀전 2022. 9. 2. 13:2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주요 감염경로로 한국산 냉동식품 지목
교민들 "유언비어 퍼져.. 각별한 주의 필요"
10월 당 대회 앞두고 쓰촨 청두 등 봉쇄 조치

중국 톈진(天津)시가 시내에 확산하는 코로나19 연쇄 감염의 원인으로 한국산 수입 물품을 지목해 한국 교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톈진 중국인들 사이에서 한국인이 이번 확산의 진원지라는 소문이 퍼져 교민들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2일 중국 시나닷컴 등에 따르면 톈진시 질병통제센터는 전날 방역 상황 관련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27일부터 현재까지 약 200명의 누적 감염자가 나온 시칭구 연쇄 감염의 근원이 한국산 수입 물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지난 8월 31일 중국 톈진시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AFP연합뉴스
센터는 “(해당 감염 경로의) 초기 감염자 유전자 서열이 한국에서 최근 공유한 유전자 서열과 차이가 가장 작다”며 “근래 초기 감염자 가정에 있던 한국산 수입 물품, 특히 한국에서 수입한 냉동식품의 표본에서 양성이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센터가 지목한 감염 경로는 최근 톈진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중 확진자가 가장 많다. 톈진에서는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1일 오후 4시까지 210여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중국내 일부 도시가 봉쇄될 정도로 전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고 있음에도, 공개적으로 톈진내 한국 물품을 특정해 원인으로 지목한 것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나 세계보건기구(WHO) 등은 우편물이나 화물의 표면접촉으로 코로나19에 감염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자국의 코로나19 통제가 잘되고 있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전파에 대한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도 없이 우편물, 냉동식품 등을 통한 해외 유입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지난 3∼4월에도 중국 일부 지역이 코로나19 확산의 근원으로 한국산 수입 의류를 지목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촉구해 한국 정부가 중국 측에 문제를 제기한 일이 있었다.
지난 8월 29일 중국 충칭시의 한 거리에 사람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줄을 서 있다. EPA연합뉴스
톈진시의 이 같은 발표 등으로 한국 교민 사회에선 중국인들과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인도 3명이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았고, 일부 한국 기업들도 봉쇄된 것으로 알려졌다.

톈진시 한인회는 최근 교민들에게 “최근 일부 중국인들 사이에서 톈진의 코로나 발생이 한국인들이 진원지라는 유언비어가 돌고 있다”며 “한국인을 기피하는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유언비어로 자칫 일부 중국인과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할 수 있어 당분간은 각종 모임을 자제하고 방역지침과 절차를 잘 따라주시기를 당부한다”고 부연했다.

중국 전역에서 지난 1일 기준 1839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하는 등 다시 2000명에 육박하자 일부 도시들이 봉쇄조치를 하고 있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여부를 결정할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10월 16일 개막)를 앞두고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펴는 것이다.

중국 서부의 산업 거점 쓰촨(四川)성 청두는 지난 1일 오후 6시부터 4일까지 도시 전면 봉쇄 조처를 내려 모든 주민의 외출을 금지했다. 청두 방역당국이 코로나19 확산 전파 고리가 20여개에 달해 방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혀 도시 봉쇄가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 1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 내려진 도시 봉쇄 조치에 한산한 도로 모습. AFP연합뉴스
중국 남부 기술 허브인 광둥(廣東)성 선전은 지난달 29일부터 나흘간 중국 최대 전자상가 화창베이를 폐쇄 조치를 했고, 1일부터는 첨단 기술 기업이 있는 난산 지역을 포함해 주요 지역을 최소 3일 동안 봉쇄하는 등 통제 조치를 강화했다.

베이징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 많은 인구 66만명의 허베이(河北)성 줘저우는 지난달 말 도시를 전면 봉쇄했고, 인구 1100만명의 허베이성 스자좡시도 대중교통 운행 중단, 상업시설 폐쇄 등 봉쇄에 준하는 조처를 내린 바 있다. 동북부 랴오닝(遼寧)성 선양은 지난달 29일 실내 밀집 시설을 전면 폐쇄했고, 다롄은 지난달 30일부터 도심을 전면 봉쇄했다.

베이징=이귀전 특파원 frei5922@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