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K-헬기 조립하자 "와~" 감탄..16개국 주한대사단 홀린 비결

사천(경남)=최민경 기자 2022. 9. 1. 05: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화하는 K-방산] 경남 사천 KAI 본사 회전익동 현장①
16개국 대사단의 KAI 회전익동 현장 투어 모습/사진제공=KAI


"KAI에서 직접 헬리콥터 조립하는 장면을 볼 수 있어 매우 기쁘고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필리핀에도 능력 있는 엔지니어들이 많은데 그들이 KAI와 협력사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필리핀은 몇 년 전 KAI로부터 매우 중요한 방위자산인 FA-50을 도입했던 만큼, 앞으로도 KAI와 협력관계가 깊어지길 기대합니다."(마리아 테레사 주한 필리핀 대사)

'K-전투기'에 이어 'K-헬기'가 방산 수출 새 먹거리가 될 날이 머지 않았다. 지난 30일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 회전익동에서 국산 헬기를 조립하는 현장을 지켜본 마리아 테레사 주한 필리핀 대사는 연신 감탄하며 KAI와의 추가 협력 의사를 내비쳤다.

이날 필리핀을 포함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방글라데시 등 16개국 주한대사가 KAI 회전익동 조립 현장을 방문했는데 모두 한국산 헬기가 조립되는 과정에 눈을 떼지 못했다. KAI의 헬기 수출 마케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 듯 보였다.

한땀한땀 손으로 빚은 '수리온'…한 달 2.5대 생산
KAI 회전익동 수리온 조립공정/사진제공=KAI

회전익동은 약 1만7851㎡(5400평) 규모로 기둥이 없는 격납고 형태로, 유동적으로 생산라인을 재배치할 수 있는 구조다. 이 공간에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과 소형무장헬기(LAH) 시제기의 조립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다.

헬기의 조립 단계는 7개 공정으로 돼 있다. 각 공정이 마무리되면 다음 단계가 진행된다. 헬기 몸통 부분인 중앙 동체 조립부터 시작해 앞 뒤로 조종석과 꼬리를 연결한다. 이후 배관, 연료탱크, 기어박스, 엔진 등을 탑재한다. 각 공정마다 약 8~13일의 시간이 소요된다. 회전익동의 한 달 생산량은 약 2.5대 규모다.

아직 도색 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노란색 동체 각각엔 엔지니어 2~3명이 붙어 엔진을 탑재하거나 케이블을 설치하는 등 맡은 공정을 진행했다. 헬기 역시 전투기와 마찬가지로 정교한 작업을 위해 용접 대신 리벳으로 동체를 연결한다. 수리온은 동체를 연결하는 리벳만 20만 개에 이른다.

KF-21 등을 조립하는 고정익동의 경우 자동화 시스템인 FASS(동체자동체결시스템)를 도입했지만 회전익동은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내수뿐만 아니라 수출물량이 많은 고정익과 달리 회전익은 아직 수출 실적이 없어 자동화율이 낮다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KAI가 군과 정부기관에 납품한 헬기는 200여 대 규모다.

실제 같은 LAH VR 시뮬레이터…직접 체험해보니
KAI는 올해 말 개발이 완료되는 LAH의 VR 시뮬레이터도 최근 완성했는데 직접 체험해볼 수 있었다. 훈련기엔 실제 LAH 계기판을 그대로 넣고 조종석도 실제와 같게 만들었다. 두 명이서 운전하는 시스템이고, 인당 조종간 두 개를 잡고 운항한다. 오른쪽 조종간은 좌, 우, 앞, 뒤로 움직이게 하고 왼쪽 조종간은 기체를 위로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한다.

페달도 있었지만 자동비행 시스템이 적용돼 규정 외 급기동 훈련을 제외하곤 쓸 일이 없다는 설명이다. 이·착륙과 가장 어렵다는 제자리 비행, 목표물 사격까지 진행했다. 양쪽 엔진이 다 꺼졌을 때 안전하게 비상 착륙하는 시범도 볼 수 있었다. 대형 스크린이 실제 비행을 하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줬다.

KAI 헬기 조종사는 "평소에 못 하는 위험한 훈련들을 실제와 비슷한 훈련기에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훈련장비도 세계적인 수준을 갖춰 우리 군의 만족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헬기 기술력 무인기로 이어져…방산수출 꿈나무
LAH(소형무장헬기)에 구현된 MUM-T (가상)/사진제공=KAI

아직 전투기 등 고정익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지만, KAI는 회전익 부문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향후 새로운 수출 먹거리가 될 수 있고, 결국 헬기 기술력이 드론·무인기 등 미래전(戰)의 핵심 기술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KAI 관계자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후발주자인 만큼 동급에서 최신형 헬기를 보유하고 있어 노후 헬기 교체를 원하는 국가들의 수요가 클 것"이라며 "기존에 KAI의 T-50 계열 항공기를 수출한 국가들, 산지와 섬이 많은 동남아시아 위주로 마케팅을 적극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헬기 사업은 미래 핵심기술인 무인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KAI는 지난해 10월 방위사업청과 '신속시범획득사업인 '헬기-무인기 연동체계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헬기에서 무인기를 직접 조종·통제하고 무인기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조종사에게 제공함으로써 원거리 정찰·타격 등 작전반경을 확장하는 유무인 복합체계(MUM-T)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KAI는 헬기에 탑재가 가능한 캐니스터(Canister)형 무인기 개발을 통해 국산헬기 수리온과 LAH의 유무인 복합체계를 구축하고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KAI 관계자는 "KAI는 3년 전 헬기 형태로 무인화를 성공한 적이 있다"며 "비행체에 무인화 작업만 하면 무인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결국 헬기 기술력이 드론·무인기와도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헬기 기술력을 보유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KAI는 현재 65% 수준인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핵심 장비인 주기어박스 등 동력전달장치의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개발비로 약 792억 원을 투자했다. 2030년까지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현재 전량 외산에 의존하는데 국산화가 되면 약 4조1000억원 규모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KAI는 LAH 양산과 더불어 해군 상륙공격헬기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 헬기 사업을 지속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KAI 관계자는 "국내에서 헬기 개발이 많이 진행돼야 앞으로 헬기 수출이 용이해질 것"이라며 "국내외 사업을 넓히기 위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준하, 박명수와 갈등 고백 "욕하고 텃세…'무도' 겨우 버텼다"'나는 솔로' 영철 "전처 임신해 결혼했는데…내 아이 아니었다"박미선 "김준호, 김지민과 골프치다 '오빠 멋있냐'고…느끼해"도발하던 제니·뷔 해킹범…돌연 "사진 더 있지만 안 올릴 것"'10월 결혼' 김연아, 6억짜리 217평 세컨드하우스 화제
사천(경남)=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