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제버거가 과소비? 다시 금 모으기 시킬거냐" 기재부, 소비 캠페인 시끌

소봄이 기자 2022. 8. 31. 09: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획재정부(기재부)가 '무지출 챌린지'를 홍보했다가 역풍을 맞은 가운데 이번에는 수제버거 사 먹는 것이 과소비라는 취지의 게시물을 올려 논란이다.

지난 25일 기재부는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일반 햄버거와 수제버거를 언급하며 국민의 '소비 트렌드'를 묻는 게시물을 올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SNS 갈무리)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기획재정부(기재부)가 '무지출 챌린지'를 홍보했다가 역풍을 맞은 가운데 이번에는 수제버거 사 먹는 것이 과소비라는 취지의 게시물을 올려 논란이다.

지난 25일 기재부는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일반 햄버거와 수제버거를 언급하며 국민의 '소비 트렌드'를 묻는 게시물을 올렸다.

게시물에서는 '1만원 후반에서 3만원에 육박하는 조금 비싸도 줄 서서 먹는 수제버거'와 '거품 뺀 가격으로 대형마트에서 싸게 나오는 햄버거'를 비교했다.

이어 "'조금 비싼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도 이미 프리미엄 제품들은 줄을 서도 못 살 정도로 인기가 많다"며 "소비에는 소비자의 심리가 담겨 있다. 이렇게 프리미엄 제품들이 인기가 많은 것도 소비자들의 억눌린 욕구가 소비 가능한 고급제품으로 분출되는 거다. 햄버거 대신 수제버거처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또 반대쪽에서는 가성비를 높인 실속 소비성향도 나타나고 있다. 생필품이 떨어지면 이월상품으로 저렴하게 구매하거나 대용량 식품으로 가격 대비 높은 성능을 비교하는 가성비 손님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고 했다.

(기획재정부 SNS 갈무리)

마지막 게시물에서는 마치 수제버거를 사 먹는 이들이 과소비하고 있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수제버거에 대해 "강남에서 3시간 동안 기다렸다. 다리 아픔, 더움, 그래도 행복함"이라고 표현했다.

동시에 "샴푸 떨어진 김에 떨이로 필요한 거 다 삼! 나 살림 좀 잘하는 듯? 내돈내산, 이월상품, 합쳐서 3만원" 등 가성비 소비를 강조했다.

이 게시물은 재조명되면서 30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 '국민의 과소비에 대한 가스라이팅이 시작됐다'라는 제목으로 빠르게 퍼졌다.

누리꾼들은 "한 번 속지, 두 번 속겠냐"면서 과거 우리나라의 외환 위기 극복 당시 국민의 소비 절제를 촉구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우리나라가 경제적 시련을 겪은 까닭을 '국민의 과소비'라고 주장한 교과서들을 갈무리하면서 "다시 금 모으기 운동이라도 시키려고 그러냐. 지금이 80년대도 아니고 정신 차려라" 등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기획재정부 SNS 갈무리)

한편 기재부는 지난 19일 '무지출 챌린지' 게시물을 올렸다가 극단적인 소비 억제 캠페인을 홍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자 이를 삭제했다.

'무지출 챌린지'는 극단적으로 소비를 줄여 일정 기간 '지출 0원'에 도전하자는 캠페인이다.

기재부가 소개한 '무지출 챌린지'의 방법은 총 3가지다. 첫 번째로 '배가 고플 땐 집으로'라며 점심에는 도시락을 싸고 퇴근 후에는 집밥을 먹는 것으로 외식비 지출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고 했다.

다음으로는 걸으면서 운동하고 앱을 통해 포인트를 모으거나 리뷰(논평)를 남겨 캐시백을 받아 커피값을 해결하기, 중고거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해 부수입을 챙기거나 무료나눔을 받기 등이 있다.

논란이 커지자 기재부는 "기재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고, 새로운 소비 형태를 알려주려는 의도였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sb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