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인간] ④ 동전 한 닢의 순례길.."선배시민은 딴 나라 얘기?"

홍인철 2022. 8. 28. 09: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빈곤 노인들 "먹고 살기도 빠듯한데, 사회에서 무슨 역할 하나"며 체념
전문가들 "노인은 시민권 요구하고, 국가·공동체는 노후 돌봐야"

[※ 편집자 주 =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노인층의 핵으로 진입하면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인 비율이 2018년 14.4%로 '고령 사회'에 들어선 데 이어 2025년 20.6%로 '초고령 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00세 이상 역시 1990년 459명에서 2020년 5천581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수명이 점점 길어져 '고령 국가'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사는 노인에게 돈과 건강만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젊은 층과 세대 갈등, 외로움과 고독, 가족·사회와 분리되는 소외 등을 들여다보아야 할 시점이다. 연합뉴스는 노인이 존엄성을 지키며 행복한 삶을 위해 개인과 사회, 국가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15편에 걸쳐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자고 한다. ①∼④편은 한국 노인의 실상과 실태를, ⑤∼⑩편은 공동체에 이바지한 노인들을, ⑪∼⑮편은 선배시민 운동과 과제 등을 싣는다.]

선풍기로 더위 식히는 쪽방촌 주민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가난에 찌들어 눈빛도 바랬고

온 얼굴 가득 주름살 오글쪼글

지하철 공짜로 타는 것 말고는

늙어서 받은 것 아무것도 없네

노년의 곤궁한 현실을 대변하는 김광규 시인의 시 '쪽방 할머니'는 이렇게 시작한다.

한국 노인은 빈곤하지만, 사회보장제도는 너무 취약하다.

'송파 세 모녀'에 이어 최근 '수원 세 모녀'가 생활고와 투병 생활로 고통받다 생을 마감했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가 아무 도움도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난 것이다.

불편한 얘기지만 가족을 동반한 '세 모녀' 사례와 달리 사회와 언론에서 주목하지 못하는 빈곤 독거노인의 자살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수원 세 모녀 사망사건 관련 긴급회의 소집한 한덕수 총리 [연합뉴스 자료사진]

우리나라 작년 노인빈곤율(43.4%)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15.3%)을 훌쩍 뛰어넘고 노인자살률 역시 OECD 회원국 평균보다 3배가량 높다.

노인 취업률도 34.1%(2020년)로 3명 중 1명이 현업에서 일하고 있다. OECD 평균 14.7%의 2.3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불명예스럽게도 모두 단연 '1위'다.

다른 나라 노인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는데 더 가난하게 사는 역설적인 상황이다.

노년층의 빈곤율도 50%가량으로 전체 노인의 절반이 가난하다.

이들 지표는 언뜻 보면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씨줄 날줄로 촘촘히 엮였다.

이런 상황에서 늙고 병든 노인들은 어쩔 수 없이 일한다.

노인 취업률이 높은 것은 그만큼 가난하다는 것이고, 가난은 자살과 연관이 깊다.

취업률이 높다고 해서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것도 아니다.

노인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한 일자리보다는 경비원, 공공근로 등 저임금 임시직이 대부분이다.

공기업 사무직으로 일하다 퇴직 후 임시 계약직으로 일하면서 겪은 갑질 등 노동 실태를 기록한 작가 조정진씨는 그의 책에서 이들을 '임계장', 즉 임시 계약직 노인장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생계비 마련하기 위해 일하는 노인(PG) [제작 정연주] 일러스트

임시직이라도 일하는 노인은 그나마 낫다.

적지 않은 노인들이 김 시인의 말처럼 '공짜 지하철을 타고' 동전 한 닢을 얻기 위해 '짤짤이 순례길'에 오르는 게 현실이다.

기초노령연금 등에 기대어 살아가는 이들은 식비마저 아끼기 위해 무료급식소에서 밥을 해결한다.

하지만 담배 한 갑, 라면 한 봉지는 공짜로 얻을 수 없기에 유일한 벌이인 '짤짤이 순례'에 나선다.

이들은 지하철로 이동하면서 100원짜리 혹은 500원짜리 동전을 주는 교회나 성당, 사찰 등을 대여섯 군데씩 찾아다닌다.

반나절 동안 5천∼6천원을 손에 쥔다. 이른바 '짤짤이 순례'다.

이때 받은 동전이 주머니에서 '짤짤거린다'고 해서 '짤짤이 순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박노숙 한국노인종합복지관 협회장은 "어느 종교기관이 언제 주는지 정해져 있어 남들보다 서둘러 가야 동전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요즘엔 카톡으로 이런 정보를 공유하는 노인 그룹이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종교기관의 한정된 재원 탓에 선착순이어서 허탕을 치는 노인들이 부지기수다.

박 협회장은 "생존의 문제에서 벗어나지 못한 노인들이 취미 활동은 고사하고 공동체의 의미 있는 일에 눈을 돌리기는 쉽지 않은 현실이어서 대부분 사회적 역할을 포기한다"고 진단했다.

이어 "영혼 없이 기계적으로 동전을 주고받는 짤짤이 순례 현장에서 '나이 듦의 존엄'은 사라진 지 오래"라며 "동전을 나눠줄 때 따듯한 말 한마디가 오간다면 영혼도, 인간의 존엄도 살아날 것"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하지만 '당장의 500원보다 내 인생에서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라고 고민하고 마음으로, 몸으로 자원봉사 등을 하는 노인들이 적지 않다"며 선배시민으로서 공동체를 돌보는 사례들을 소개했다.

왼손으로 돈을 받을지언정 오른손으로는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 하고자 하는 인정의 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취미 즐기는 노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곤궁한 노인들이 시민의 권리인 생존을 넘어 자원봉사나 취미·여가 활동, 정치 활동 등을 하기 위해서는 취약한 사회보장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신열 전북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사회와 국가는 근·현대 시기에 경제발전에 이바지한 노인의 공로를 인정하고 고맙게 생각해야 한다"면서 노인 빈곤 문제는 국가의 책임이 크므로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의 국민연금이나 노령연금 같은 사회보장제도가 취약하다는 판단에서다.

1988년 도입된 국민연금은 역사가 짧아 전체 노인의 40%도 수령하고 있지 않다.

특히 국민연금 실질 소득대체율은 22.4%(2020년 기준)에 불과하다.

생애 평균 300만원 임금근로자의 경우 월 70만원의 연금으로 노후를 보내야 한다는 의미다.

개인과 가족이 아니라 공적인 대응, 즉 사회보장제도에 답이 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노인들도 자신의 인권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국가와 공동체는 이들의 노후를 돌볼 확장된 사회보장제도와 이를 실행할 구체적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수진 전주안골노인복지관 관장은 "노인이 시민으로서 갖는 권리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어느 수준 이상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며 "선배시민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자기 목소리로 공동체에 참가함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존재 의미를 실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급식실에서 일하는 노인들 [대전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icho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