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훅' 들어온 민간 전기자전거, '확' 밀리는 공용자전거들

김정훈 기자 2022. 8. 25. 21: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창원, 카카오T바이크 상륙 후 '누비자' 이용 줄어 고민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교 정문 누비자터미널(누비존)에 24일 누비자와 카카오T바이크가 함께 서 있다.

2008년 전국 최초로 공용자전거 ‘누비자’를 도입한 경남 창원시가 전기자전거 등 민간 개인형 이동장치(공유형)의 확산으로 누비자의 이용이 줄어들자 대책 마련에 나섰다.

누비자의 경쟁력은 값싼 이용료로 시민들의 건강도 챙기고 탄소 배출도 줄이는 것이다. 누비자 1시간 이용료는 660원이다. 1일 이용권은 1000원, 연간 회원권은 2만원이다. 이용료가 민간 개인형 이동장치의 최저 9분의 1가량으로 저렴하다.

하지만 누비자 이용은 줄고 있다. 2017년 547만7700회였던 이용 횟수는 2021년 412만9800회로 급감했다. 올 들어 7월까지는 242만9000회로 집계됐다. 창원시는 2020년부터 크게 줄어든 원인을 개인형 이동장치 등장과 코로나19 영향으로 분석했다.

창원에서는 공유 전동킥보드 7개 업체 2340대, 전기자전거 2개 업체 1200대 등 총 9개 업체가 3540대를 운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부터 자전거 1000여대로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T바이크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지역 내 어디서든 대여·반납할 수 있고, 신용카드로 요금 자동 결제, 전기동력으로 이동하는 편리성을 갖고 있어 시민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이용 감소에 따른 재정적자를 줄이고자 공용자전거 서비스를 중단하는 지자체들도 잇따르고 있다. 경기 안산시의 ‘페달로’는 2013년 도입해 운영하다 지난해 중단했다. 매년 유지 보수 비용으로 들어가는 10억원의 적자를 중단 사유로 들었다. 대신 안산시는 올해부터 민간 공유자전거인 카카오T바이크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경기 고양시도 2010년 도입해 11년간 운영하던 공공자전거 ‘피프틴’을 지난해 5월 중단했다. 고양시도 매년 10억원의 적자를 줄이려고 KT 전동자전거 ‘타조(TAZO)’를 도입했다.

경남지역 한 교통정책 전문가는 “지자체가 공용 이동수단으로 전기자전거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돈이 많이 든다”며 “시내버스 연계, 이용료 감면,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으로 누비자 이용객을 늘리는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비용이 많이 드는 전기자전거 도입은 신중해야 하지만, 민간 전기자전거의 장점을 누비자에 적용하는 등 계속 개편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김정훈 기자 jh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