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두기나 폭사에 "무고한 희생자"..곧장 발끈한 우크라(종합)

신창용 2022. 8. 24. 22: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푸틴의 브레인'으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두긴의 딸 사망 사건과 관련해 "전쟁의 무고한 희생자"라고 지칭하자 우크라이나가 발끈했다.

우크라이나의 안드리 유라쉬 주교황청 대사는 2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교황의 말은 실망스러웠다"며 "어떻게 (러시아의) 제국주의 사상가 중 한 명을 무고한 희생자로 언급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썼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 주교황청 대사, 이례적 비판 "교황의 말, 실망스러워"
교황 "자포리자 원전 핵재앙 우려..구체적 조치 마련돼야"
프란치스코 교황 (EPA=연합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이 24일(현지시간) 바티칸의 바오로 6세 홀에서 수요 일반 알현을 주례하고 있다. 2022,8.24 photo@yna.co.kr

(바티칸=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 프란치스코 교황이 '푸틴의 브레인'으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두긴의 딸 사망 사건과 관련해 "전쟁의 무고한 희생자"라고 지칭하자 우크라이나가 발끈했다.

우크라이나의 안드리 유라쉬 주교황청 대사는 24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교황의 말은 실망스러웠다"며 "어떻게 (러시아의) 제국주의 사상가 중 한 명을 무고한 희생자로 언급하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썼다. 이어 "그는 러시아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부연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에 대해 바티칸에 파견된 주교황청 대사가 교황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라고 전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바티칸의 바오로 6세 홀에서 주례한 수요 일반 알현에서 우크라이나의 독립기념일이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6개월째인 이날 전쟁의 광기로 인해 희생당하는 것은 무고한 사람들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20일 러시아 모스크바 외곽에서 알렉산드르 두긴의 딸 다리야 두기나가 차량 폭발로 숨진 사건을 언급했다.

교황은 "모스크바에서 그 불쌍한 여성이 카시트 밑에 설치된 폭탄에 의해 공중으로 날아갔다"며 "전쟁의 대가를 치르는 건 무고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두기나 폭사의 배후로 우크라이나를 지목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차량 폭발 사망' 딸 추도식서 연설하는 두긴…푸틴은 훈장 수여 (모스크바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 극우 사상가인 알렉산드르 두긴이 23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차량 폭발로 사망한 자신의 딸 다리야 두기나의 추도식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두기나가 생전 업무 수행에서 보여준 용기와 헌신을 기린다며 '용기 훈장'을 수여하는 법령에 서명했다. 2022.08.23 ddy04002@yna.co.kr

두기나의 아버지 두긴은 새로운 러시아 제국을 만들고 여기에 우크라이나를 포함해야 한다고 오랫동안 주장해왔던 인물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기에 '푸틴의 철학자', 우크라이나 침공의 '기획자'로 불린다.

언론인이자 정치 평론가로 활동해 온 두기나는 아버지의 사상을 지지하면서 러시아 국영TV 등에 출연, 우크라이나 침공을 두둔해왔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아울러 전쟁으로 인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많은 어린이가 고아가 되고 있다며 "고아는 국적이 없다. 러시아인이든, 우크라이나인이든 아버지와 어머니를 잃었다"고 안타까워했다.

유라쉬 대사는 교황의 이 발언도 문제로 삼았다. 그는 "침략자와 피해자, 강간범과 강간 피해자를 같은 범주에 넣어서 말할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교황청은 유라쉬 대사의 발언에 아직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날 수요 일반 알현이 끝나갈 무렵 "전쟁을 끝내고, 자포리자 원전의 핵 재앙 위험을 막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러시아군이 점령 중인 자포리자 원전 주변에서 최근 크고 작은 포격이 잇따르며 방사능 사고 우려가 커지자 핵 재앙 위험을 경고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것이다.

교황은 "6개월 동안 전쟁의 참혹함을 겪고 있는, 사랑하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위해 주님의 평화를 기도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10년 넘게 내전을 겪고 있는 시리아, 기아 문제로 많은 어린이가 굶어 죽는 예멘, 불의에 의해 삶의 터전에서 쫓겨난 미얀마의 로힝야족을 언급하며 그들의 고통도 함께 기억할 것을 주문했다.

드니프로강 건너 니코폴서 바라본 자포리자 원전 (니코폴 AFP=연합뉴스) 러시아군이 지난 3월 초부터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에네르호다르 지역에 위치한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 단지를 지난 4월 27일(현지시간) 드니프로강 건너 인근 도시 니코폴에서 바라본 모습.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18일 최근 포격이 잇따른 자포리자 원전에 국제원자력기구(IAEA) 시찰단을 파견하는 계획에 합의했다. 2022.8.19 leekm@yna.co.kr

changyo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