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대학포럼]〈84〉대학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에서 역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통적으로 대학의 역할은 교육과 연구로 인식됐다.
전통적 대학은 물리적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떨어질 수 없는 존재임에도 국내에서 대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은 다소 부족했다.
종합대학으로서 전공이 다양하게 있어 지역사회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시각이 다양하게 도출된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학이 지역사회에서 해야 하는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대학의 역할은 교육과 연구로 인식됐다. 최근 '제3 미션'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역할이 대학에 요구되고 있다. 대학 지식과 자원을 학문적 환경 외부로 확산해서 사회·문화·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미국 하버드대 명예총장이자 가장 오랜 기간 총장으로 재임한 찰스 윌리엄 엘리엇은 “대학은 뼛속 깊이 민주주의적 봉사정신으로 가득 차야 하고, 지역사회에 대한 민주적 봉사 열의가 교수와 학생을 움직이는 동력이 돼야 한다”며 대학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전통적 대학은 물리적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떨어질 수 없는 존재임에도 국내에서 대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은 다소 부족했다.
2016년 서울시에서 시작한 '캠퍼스타운 사업'은 대학의 제3 미션에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이 사업은 기본적으로 대학-지역 협력을 통해 대학과 지역, 지역주민이 상생하는 지역 공동체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주거안정화, 지역협력, 상권활성화, 문화 특성화, 창업육성을 통해 청년과 대학·지역의 상생 성장을 가능케 하는 '대학도시 서울' 구축이 궁극적 목적이다. 서울에는 54개 대학이 있는 등 대학 자원이 풍부한 지방자치단체이며, 현재 32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숙명여대는 2017년부터 처음 3년은 단위형, 2020년부터는 종합형으로 참여하고 있다. 총 6년의 사업 경력이 있다. 숙명여대는 특히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활동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며 주목받고 있다. 기본 사업구조를 보면 대학의 인적 자원인 교수진과 학생에게 교과·비교과 과정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도출하게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종합대학으로서 전공이 다양하게 있어 지역사회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한 시각이 다양하게 도출된다. 프로젝트형 수업을 통해 발굴된 아이디어 가운데 학생이 희망하는 경우 우수한 아이디어에 대해 예산을 지원, 학생 주도적으로 결과물을 생산해서 볼 수 있게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용산구 관내 전통시장 세 곳에 새로운 청년과 신혼부부 등 젊은 세대를 유입시켜 전통시장 매출을 신장시키고, 빈 점포에 신규 청년 상인이 입점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021년에는 시장 상인과 학생팀을 매칭해서 밀키트 신상품을 기획·개발하거나 포장 용기를 새롭게 디자인하고, 코로나로 인한 온라인 판매를 촉진함으로써 상인의 수익 증대에 기여했다.
숙명여대 캠퍼스타운사업단이 처음부터 이 같은 성과를 낼 수 있게 된 것은 아니다. 숙명여대가 용산구 관내에서 유일한 4년제 대학이었지만 용산구 주민에게 숙명여대는 가까운 존재가 아니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한 의사소통과 스킨십을 통해 신뢰관계를 구축하려 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관내 유관기관과의 협력관계를 맺는데 오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다.
최근 지역사회에 이슈가 발생할 때 기관에서 먼저 숙명여대 캠퍼스타운사업단에 연락을 준다. 관내 초등학교에서 벽화작업을 위해 숙명여대 미대 학생들의 도움을 요청하거나 용산구청에서 기획하는 문화행사에 숙명여대의 아이디어를 수렴하는 것은 이제 자연스러운 일이 됐다. 우리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진리의 상아탑으로서의 대학 역할뿐만 아니라 대학의 풍부한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서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풍부하다. 서울시 캠퍼스타운사업은 대학과 지역을 연결하는 일종의 브리지 역할로, 지역사회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직간접 기여한다. 다른 지자체에서도 이러한 형태의 우수사례에 주목하고 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학이 지역사회에서 해야 하는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심지현 숙명여대 인적자원개발학과 교수·캠퍼스타운사업단 부단장 shimx013@sookmyung.ac.kr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D "8세대 IT용 OLED 투자"
- [창간40주년 특별인터뷰/안철수 의원]격변의 시대, 기회의 문화 만들어야
- 동대문 의류도매 시장…코인 기반 '전자상품권' 도입
- 어나니머스, 中 기업 해킹…대만대 사이버공격 보복
- 민주당 중앙위, '권리당원 전원투표 신설' 부결… 긴급 비대위 소집
- 농심, 오너 3세 경영 본격화...11명 중 5명 계열 임원 맡아
- 휴맥스그룹, 흩어진 모빌리티 서비스 하나로 합친다
- 美 대표 치킨 '윙스탑' 하반기 한국 상륙…글로벌 프랜차이즈 '러시'
- [단독] 전력거래소, '출력 제어' 명문화...재생에너지 직격탄 맞나
- 롯데바이오로직스 발 인력재편 온다...대규모 채용 업계 '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