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차세대 배터리 신소재 개발 단축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차세대 배터리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데이터 마이닝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용량 양극재 역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차세대 배터리 신소재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데이터 마이닝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고용량 양극재 역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인공지능은 고차원의 변수 공간에서 각 매개변수 간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를 공정-구조-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발전하는 신소재공학에 적용하면 신소재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많은 연구자가 인공지능을 신소재 개발에 활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새로운 배터리 소재를 탐색하고, 탐색한 소재를 합성 및 특성 평가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데이터의 신뢰성과 양이다. 제1 원리 계산으로 예측한 값들은 실험으로 검증이 돼야 하며, 실험데이터의 경우 실험실마다 편차가 있고, 중요한 공정변수들을 공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가 한정적이라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연구팀은 배터리 양극재 원료조성, 1차 및 2차 소결 온도와 시간 등의 공정 변수와 컷오프 전위 및 충방전률과 같은 측정 변수, 그리고 1차 및 2차 입자의 크기와 같은 구조 변수, 마지막으로 충․방전 용량과 같은 성능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수립했고, 이를 활용해 요구되는 에너지 용량에 맞는 합성 조건을 찾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니켈 함량 양극재 관련 논문 415편 안에 발표된 주요 변수들을 추출하고, 그중 16% 정도의 정보가 기입되지 않음을 발견했다. 이후 가장 신뢰도가 높은 MICE를 선택해 얻은 입력 데이터 셋을 기반으로 주어진 공정 및 측정 변수에 대해서 성능 변수를 예측하는 순방향 모델을 얻었다.
홍승범 교수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대량의 논문 및 특허 내에 있는 공정-구조-물성 변수들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실험값들을 추출해 각 변수 간의 다차원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 차세대 배터리 소재의 역설계의 핵심”이라며 “향후 데이터 마이닝 기술, 머신러닝 기술 그리고 공정 자동화 기술을 융합하는 것이 미래의 신소재공학”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문철TV 때문에 명예훼손"..과실 100% 배달기사, 내용증명 보냈다
- [영상]아파트 주차장에 소화기 투척 '펑'...가해男 가족은 '모르쇠'
- “해수욕장서 165㎝ 아이 발가벗겨 씻긴 부모…아이는 방방 뛰어”
- “27살에 134억원 잭팟” 너무 부러운 ‘이 청년’ 누구길래
- 엄마는 암, 두 딸은 희귀병…세상 등진 수원 세 모녀 모두 투병중이었다
- 보육원 출신 새내기 대학생 기숙사서 숨진 채 발견…"지원금 700만원뿐, 금전 고민"
- 택시로 착각해 차 탄 할아버지 집까지 모시느라…면접 30분 늦은 사연
- “나는 실패작이래”…초등생 ‘극단 선택 퍼포먼스’ 유행
- MC몽 “5000원짜리 원피스 입는 어머님과 1억 기부”
- 뺑소니범 알고보니 살인미수 용의자, 국대 출신이 쫓아가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