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포털 뉴스의 선순환 생태계

2022. 8. 23. 00: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어느 포털 뉴스난에서 뜻밖의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피겨 스타 김연아 선수의 경쟁 상대로 잘 알려진 일본 피겨 선수가 "서울에서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뉴스였다. 자세히 읽어보니 "이런 가짜뉴스가 모 유튜브 채널을 통해 퍼졌고, 이를 본 사람들로 인해 해당 일본 피겨 선수의 이름이 구글 인기 검색어 순위에 오르는 소동이 벌어졌다"는 내용이었다. 기사를 읽고 나서 왠지 낚였다는 황당함과 더불어 "포털 뉴스 생태계에도 이렇게까지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이 적용되고 있구나" 하는 안타까움이 앞섰다. "가짜뉴스가 있었다"는 내용의 기사를 작성해 올린 해당 일간지의 기사는 사실이지만, 포털 사이트 뉴스난에 이런 식의 허위뉴스를 기사화한 질 낮은 뉴스가 자리 잡아 조회 수를 올리면 결국 질 좋은 뉴스는 쫓겨나기 때문이다.

자료에 의하면 작년 네이버와 카카오의 일일 평균 이용자 수는 8000만명에 달하고 인터넷 뉴스 이용 창구 조사에서 포털 등 검색 엔진이 88.5%로 일간지 등에 비해 압도적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처럼 우리 사회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포털의 올바른 생태계 정립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 국회에서는 '포털뉴스편집 제한' '허위조작정보의 정의' '삭제요구·반박게시 신설' 등과 관련한 정보통신망법 개정 관련 논의가 한창이다. 당연하게도 발의된 법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난무하다. 물론 건전한 포털 뉴스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책을 수립하고 제도를 만들려면, 다양한 이해집단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조율해 나가는 과정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그러나 우선순위는 다양한 공론을 반영하여 만든 법과 제도를 잘 운영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체 국민들의 정보주권을 훼손하지 않고, 질 낮은 뉴스가 질 좋은 뉴스를 쫓아내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먼저 뉴스 공급에 따른 수익구조를 언론사 기사 트래픽에 따른 수익의 공유 방식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다. 뉴스의 품질과 관계없이 어떤 방법으로든 트래픽을 올려 이익배분을 늘리려고 하는 정책으로 인해 포털 뉴스의 저널리즘 영역에 나타나는 질적 하락 현상을 지양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 영역의 뉴스 생태계에서 악화가 양화를 쫓아내지 못하게 하려면 온라인 시민, 즉 네티즌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양심이 필요하다. 질 낮은 뉴스를 생산하는 근원과 확대하는 매개원을 발견하면 그대로 지나치지 않고 질타하며 대가를 치르게 하는 행동하는 양심을 보여줘야 한다. 이를 위해 파파라치 식의 직접적인 보상도 필요하지만, 온라인 뉴스의 유통을 통해 이익을 보는 경제주체들의 적극적인 자정활동과 네티즌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질 낮은 뉴스를 정화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능동적인 참여로 이어지게 해야 한다.

나아가 질 낮은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언론사, 확대한 인터넷 뉴스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벌금뿐만 아니라 벌점을 누적시키고, 일정 한계에 이를 경우 퇴출 및 경제적 제재를 가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한다.

[구종상 동서대 방송영상학과 특임교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