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문맹률(文盲率)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선교사이자 육영공원 교사로 근무한 호머 헐버트(1872∼1909)는 1891년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저술했다.
그는 1889년 뉴욕 트리뷴지에 한글을 "완벽한 문자"라고 극찬했다고 한다.
한글은 세계 어느 나라 문자와 비교해도 우월하다.
표의문자인 중국어와 달리 표음문자인 한글은 배우기가 쉬운 데다 자음 14개, 모음 10개로 1만개가 넘는 말을 쓸 수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방 직후 45%였던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지금은 사실상 제로(0)에 가깝다. 1980년대부터 “의미가 없다”며 더 이상 문맹률 조사를 하지 않았을 정도다. 문맹률의 반대 개념이 문해율이다. 둘을 합치면 100%다. 문제는 실질문맹률이다. 단순히 글을 읽을 수 있다고 해서 끝나는 게 아니다. 최근 트위터 실시간 트렌드에 ‘심심한 사과’가 검색어로 올라왔다. 한 웹툰 작가 사인회 예약 과정에서 시스템 오류가 일어난 데 대해 주최 측이 “심심한 사과 말씀 드린다”고 올린 것이 발단이 됐다. 일부 이용자들은 “안 심심한데…” “앞으로 공지글은 생각 있는 사람이 올려라” 등 트윗을 남기며 주최 측을 비난했다.
주최 측은 ‘진심으로 사과한다’는 글을 재차 올렸다. 사과에 진심이 묻어나지 않은 데 대한 비아냥일 수 있지만, 일부는 ‘마음의 표현 정도가 매우 깊고 간절하다’는 의미의 ‘심심(甚深)하다’를 잘못 이해한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사흘을 ‘4일’로, 금일을 ‘금요일’로 이해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가히 ‘21세기 신문맹’이라는 말이 생길 만하다.
단순히 읽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엄연히 다르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읽은 문장의 뜻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실질문맹률’이 75%에 이른다고 한다. 의약품 설명서를 제대로 이해하기 힘든 수준일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문해력 저하의 해결책으로 ‘독서’를 제시한다. 오늘은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한다는 처서(處暑)다. 걸러지지 않은 인터넷 글과 자극적인 비문은 내려놓고 조금이라도 책을 가까이해보는 여유를 가지는 게 어떨까.
김기동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축의금은 10만원이지만…부의금은 “5만원이 적당”
- 빠짐없이 교회 나가던 아내, 교회男과 불륜
- 9초 동영상이 이재명 운명 바꿨다…“김문기와 골프사진? 조작됐다” vs “오늘 시장님과 골프
- 입 벌리고 쓰러진 82살 박지원…한 손으로 1m 담 넘은 이재명
- 회식 후 속옷 없이 온 남편 “배변 실수”→상간녀 딸에 알렸더니 “정신적 피해” 고소
- 일가족 9명 데리고 탈북했던 김이혁씨, 귀순 1년 만에 사고로 숨져
- “걔는 잤는데 좀 싱겁고”…정우성, ’오픈마인드‘ 추구한 과거 인터뷰
- 한국 여학생 평균 성 경험 연령 16세, 중고 여학생 9562명은 피임도 없이 성관계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