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보다 강한 TSMC..'脫중국'이 대만을 키웠다

강현우 2022. 8. 22. 17: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중국이 1992년 수교한 이후 30년 동안 양국 간 교역 규모는 47배로 커졌다.

중국에 진출한 자국 기업이 본국으로 돌아오면서 2020년 이후 매년 국내총생산(GDP)이 0.7%포인트 추가 상승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대만 정부의 분석이다.

2016년 집권한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여당인 민진당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을 꾸준히 추진했다.

화웨이나 알리바바 같은 중국 기술기업은 첨단 반도체의 설계는 직접 하면서도 생산은 대만 TSMC에 의존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턴정책으로 작년 6.6% 성장
中, 대만 반도체 의존은 더 커져

한국과 중국이 1992년 수교한 이후 30년 동안 양국 간 교역 규모는 47배로 커졌다. 중국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한국이 풀어야 할 숙제로 부상했다. 이와 관련한 참고 사례로 대만이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2020년 대만의 경제성장률은 3.4%를 기록했다. 30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2.3%)을 앞섰다. 한국의 당시 성장률은 -0.7%에 그쳤다. 2021년에도 대만은 11년 만의 최고 기록인 6.6%를 달성했다. 중국은 8.1%, 한국은 4.1%였다.

대만의 성장세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지난 2분기 성장률(전년 동기 대비)은 3.1%로 한국(2.9%)을 또 앞섰다. 대만 당국은 ‘탈중국’이 성장동력이라고 보고 있다. 중국에 진출한 자국 기업이 본국으로 돌아오면서 2020년 이후 매년 국내총생산(GDP)이 0.7%포인트 추가 상승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게 대만 정부의 분석이다.

2016년 집권한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여당인 민진당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정책을 꾸준히 추진했다. 중국 진출 기업이 자국으로 회귀할 때 조세 감면, 토지 제공 등의 지원책을 제시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자 관세 등 리스크를 피하려는 대만 기업의 유턴은 더욱 늘어났다. 대만 경제부는 2021~2023년 유턴기업이 매년 100억~130억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만의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크다. 올 들어 지난 4월까지 수출액에서 중국의 비율은 26.2%로 차이잉원 정부가 들어선 2016년(26.3%)과 비슷하다. 다만 수출품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26.9%에서 45.5%로 뛰었다.

수출에서 반도체 비중이 올라갔다는 건 역설적으로 대만 내 생산이 늘었기 때문이다. 화웨이나 알리바바 같은 중국 기술기업은 첨단 반도체의 설계는 직접 하면서도 생산은 대만 TSMC에 의존한다. 미국의 애플이나 퀄컴도 주력 반도체 생산을 TSMC에 맡긴다.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시장에서 TSMC의 점유율은 50%를 넘는다.

TSMC는 전략적으로 신규 투자를 대만에 집중시켰다. 그 덕분에 이제 TSMC는 중국의 무력 침공을 막아주는 ‘수호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TSMC 공장이 파괴되면 중국 첨단산업도 막대한 타격을 받기 때문에 무력 침공을 자제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문일현 중국 정법대 교수는 “미국도 유사시 TSMC의 생산설비를 보호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한 기업이 국가 안보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