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마네킹, 다음엔 사람이..반세기 만에 달나라 향하는 '인류'

이정호 기자 2022. 8. 21. 21: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9일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오는 29일 달을 향해 떠날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이 최종 점검을 거치고 있다. SLS는 동체 꼭대기에 탑재한 오리온 우주선과 함께 ‘아르테미스 1호’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미국·한국·영국 등 21개국 참여
우주 밖 45만㎞ 지점 반환점 돌아
달 주위 궤도 6일간 머물다 귀환
자원 기지 구축 십수년 여정 시작
핵융합 원료인 ‘헬륨3’ 다량 매장
주인 없는 공해 ‘채굴 경쟁 가능성’

“우리는 달에 가기로 했습니다.”

1962년 9월12일 미국 라이스대에서 연설에 나선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 그가 이날 내놓은 메시지는 인류 역사를 바꾼 계기가 됐다. 사람을 달에 보내겠다고 공개 천명한 케네디 대통령은 달을 선택한 이유를 “가기 쉬운 곳이 아니라 어려운 곳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969년 7월20일, 케네디 대통령의 연설은 현실이 된다. 수십억 인류는 달에 발을 디디는 아폴로 11호 선장 닐 암스트롱의 모습을 텔레비전으로 지켜본다. 인류의 활동 영역을 다른 천체로 확장한 암스트롱의 첫걸음은 세계인들의 가슴을 뛰게 했다.

하지만 달을 향한 인간의 발걸음은 길게 이어지지 않았다.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이기면서 미국 사회에서 달을 향한 관심이 떨어졌고, 예산 압박까지 더해지면서 1972년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달로 가는 여정은 중단됐다. 그렇게 50년이 흘렀다. 그사이 중국 같은 신흥 우주국들이 달에 착륙선을 보냈지만, 모두 사람이 타지 않는 무인 기계였다.

그런데 다음주,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가 바뀐다.

달에 사람을 다시 보내기 위한 계획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른다. 주도국인 미국과 한국, 일본, 영국 등 21개국이 참여한 ‘아르테미스 계획’에 따른 첫 우주선이 오는 29일 발사된다. 십수년 안에 달에 상주 기지를 짓기 위한 여정이 시작된 것이다.

아르테미스 1호의 일부로 발사된 ‘오리온 우주선’이 달 궤도를 도는 상상도. 향후 발사될 아르테미스 2호는 사람을 태우고 달 주위 궤도를 돌 예정이고, 3호는 사람을 태운 채 달에 착륙도 할 계획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 어떻게 가나

지난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아르테미스 1호를 현지시간으로 29일 오전 8시33분(한국시간 오후 9시33분)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하기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아르테미스 1호는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힘을 지닌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과 그 위에 실리는 오리온 우주선으로 구성된다. SLS 길이는 98m로, 아폴로 계획에 이용된 새턴 5호(110m)보다 짧다. 하지만 추력은 새턴 5호(3500t)보다 15% 강하다.

첫 비행에 따르는 위험을 고려해 아르테미스 1호에는 사람 대신 마네킹이 탄다. 아르테미스는 달 주변을 도는 게 목적인 궤도선이다. 발사 뒤 총 42일간 우주에 머무는데, 달 주변을 도는 건 6일간이다.

아르테미스 1호는 지구에서 달을 향해 날아갔다가 특정 지점에서 방향을 완전히 뒤바꿔 지구로 귀환한다. 전체 궤적을 보면 반환점을 돌아서 달리는 마라톤 선수와 비슷하다. 눈길을 끄는 건 아르테미스 1호가 지구에서 45만㎞ 떨어진 우주까지 날아간다는 점이다. 달은 지구에서 38만㎞ 떨어져 있다. 아르테미스 1호는 달을 훌쩍 넘어 비행했다 되돌아온다는 얘기다. 사람을 태우려고 만든 우주선으로는 지구에서 가장 멀리 갔다가 귀환하는 기록을 세우게 된다.

■ 무엇 때문에 가나

인류가 달에 다시 가려는 이유는 간단하다. 달이 과학 연구 대상에서 벗어나 사업 대상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핵심은 자원이다. 달에는 마그네슘과 실리콘, 철, 티타늄 등이 풍부하다.

특히 달에는 핵융합 발전의 원료인 ‘헬륨3’가 다량 묻혀 있다. 추정되는 매장량은 100만t이다. 헬륨3 1g은 석탄 40t과 비슷한 힘을 뿜는다. 달의 헬륨3를 지구로 퍼온다면 지구 전체에 1만년간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김한택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우주법 전문)는 “달은 국제법상 공해(公海), 달의 자원은 공해를 헤엄치는 물고기와 비슷하다”며 “공해에서는 누구든 물고기를 잡을 수 있듯이 달에서도 누구든 광물을 캘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채굴을 준비하기 위한 각국의 움직임이 빨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달이 주권이 미치지 않는 공해와 같은 지위라고 해도 현실적으로 특정 국가가 먼저 개발한 광산에 다른 국가가 밀고 들어간다면 다툼이 생길 수 있다. 현재는 이를 조정할 제도적인 체계가 없다. 김 교수는 “향후 유엔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달은 ‘우주 터미널’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달 중력은 지구의 6분의 1에 불과해 작은 추력으로도 로켓이 상승한다. 식민지로 거론되는 화성으로 가는 로켓을 더 편하게 발사할 수 있다.

■ 언제 또 가나

내년 또는 2024년에는 아르테미스 2호가 발사된다. 사람을 태우고 달 상공까지 날아간다.

2025년 발사될 아르테미스 3호는 사람이 타고 달에 착륙도 한다. 여성과 유색 인종 등 2명이 달에 내린다.

아르테미스 계획을 완수하는 데는 모두 30조~40조원이 들 것으로 보인다. 많은 예산이 필요하지만, 달의 사업적 가치가 크게 올라가는 상황이어서 충분히 쓸 만한 돈으로 미국 등 각국은 보고 있다.

옥토끼가 새겨진 낭만적인 천체에서 거대한 기회의 땅으로 의미가 달라진 달이 인류에게 어떤 변화를 만들지 주목된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