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술', 우리나라에 몰려온다..기대 큰 만큼 우려도

이주상 기자 2022. 8. 21. 20: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미술시장이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뉴욕의 글래드스톤이 지난 4월 청담동에 자리를 잡았고, 아시아 최대 규모 갤러리 탕 컨템포러리 아트도 한국 미술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세계적인 갤러리 90여 개가 참여해 국내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규모의 미술 축제의 장이 열립니다.

[김윤섭/미술평론가 : 미술 시장 규모는 확장될 수 있을지언정, 혹여나 한국 미술계의 건강한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까지 충족시켜줄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세계 미술시장이 우리나라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해외 유명 갤러리들이 앞다퉈 한국에서 전시를 열고 있는데요. 다음 달에는 세계 3대 아트페어 중 하나인 영국 프리즈가 아시아 최초로 서울에서 열립니다. 기대가 큰 만큼 우려도 나옵니다.

이주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부터 두드러졌던 해외 유명 갤러리들의 진출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욕의 글래드스톤이 지난 4월 청담동에 자리를 잡았고, 아시아 최대 규모 갤러리 탕 컨템포러리 아트도 한국 미술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독일의 페레스 프로젝트 역시 아시아 진출의 교두보로 서울을 선택했습니다.

[조은혜/페레스 프로젝트 아시아 디렉터 : 한국이 점점 더 커지는 것 같고 또 한국 고객들도 굉장히 세련되고 미술에 관한 그런 관심도 굉장히 높고 그래서 한국을 선택한 것 같아요.]

다음 달 초에는 세계 3대 아트페어의 하나인 영국 프리즈가 아시아 처음으로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패트릭 리/프리즈 서울 디렉터 :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영역에서 한국 작가들의 역량이 뛰어나고, 컬렉터 기반도 탄탄합니다. 특히 컬렉터들이 젊어지고 있다는 게 아주 인상적입니다.]

세계적인 갤러리 90여 개가 참여해 국내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규모의 미술 축제의 장이 열립니다.

홍콩을 대체하는 아시아 미술 시장의 허브가 될 것이라는 기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희망적이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김윤섭/미술평론가 : 미술 시장 규모는 확장될 수 있을지언정, 혹여나 한국 미술계의 건강한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까지 충족시켜줄까….]

해외 거대 갤러리에 종속되면서 자본만 유출될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국내 미술계가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VJ : 오세관)

이주상 기자joosa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