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호실적, 원화약세 감안하면 착시?

강민우 2022. 8. 21. 17: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출 상위 50개 수출기업 분석
침체 우려속 깜짝실적 올렸지만
달러화 계산땐 성장률 반토막
영업익 12% 늘어난 삼성전자
1·2분기 평균 환율 적용땐
오히려 -0.3% 성장 뒷걸음
조선·해운도 달러 매출 줄어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속에서도 국내 상장사들이 2분기 최대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올렸지만 상당 부분이 환율 효과에 의한 착시 현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한국 간판 기업들은 매출과 이익의 상당 부분이 달러 등 외화로 발생하는데, 원화가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원화로 환산한 매출과 이익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원화 약세로 인한 실적 부풀리기 효과를 걷어낼 경우 성장 둔화가 포착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매일경제가 매출액 상위 50개 수출 제조업 회사들의 올해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조사한 결과, 각각 419조5200억원, 45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인 328조9700억원과 34조9900억원 대비 각각 27.5%, 29%가량 늘어난 규모다. 직전인 1분기와 비교해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9%대 성장을 달성했다.

이 같은 성장세는 상당 부분 환율 효과에 기인했다. 올해 2분기 달러당 원화값 평균치는 1261.12원이었지만 지난해 2분기에는 1121.13원이었다. 1년 새 달러당 원화값이 139.99원 내린 셈이다. 원화값 하락세는 올해 들어서도 이어졌다. 지난 1분기 달러당 원화값 평균치는 1205.29원으로, 2분기 대비 4.4% 높았다.

기업들의 각 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분기별 평균 환율로 나누는 식으로 실적을 달러화로 환산할 경우 성장폭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각각 13.4%와 14.6%로 줄었다. 직전 분기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 성장률도 4%대로 낮아졌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원화값 하락은 외화로 발생한 매출과 이익을 원화로 환산했을 때 금액을 부풀리는 효과가 있다"며 "수출 기업들은 물건을 팔아서 보유한 달러만큼 환차익을 누리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회사들이 환율 효과를 톡톡히 봤다. 반도체는 달러로 계약이 이뤄지는 대표 수출품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4조971억원을 거둬 원화로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2% 늘었지만, 이를 각 분기 평균 환율을 반영해 달러화 환산 영업이익으로 비교하면 지난해보다 0.3% 역성장했다. SK하이닉스도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이 55.6%에서 38.2%로 17.4%포인트 감소했다.

자동차 회사들은 판매 대수가 감소한 가운데에서도 환율 효과에 힘입어 고성장을 이뤘다. 현대차는 올해 2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한 35조9999억원을 기록했지만 달러화 환산 매출액은 증가율이 3분의 1 수준인 5.5%로 감소한다.

일부 기업은 원화 실적이 늘었지만 달러화 기준 실적은 역성장을 기록했다. 트레이딩(중개무역) 수수료를 대부분 달러로 받는 종합상사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삼성물산과 LX인터내셔널은 달러화 기준 매출액이 직전인 1분기 대비 각각 8300만달러, 9984만달러 감소했다. 해운 회사 HMM도 달러 기준으로는 매출액이 지난 1분기보다 줄었다. 물동량이 감소하고 해상운임이 하락한 영향이다.

선박 대금을 달러로 받는 조선 회사들도 환율 효과를 걷어내자 부진이 더욱 잘 드러났다. 한국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은 달러화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삼성전기는 원화 실적은 개선됐지만 달러화로 환산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일제히 감소했다. 수출 품목인 정보기술(IT) 부품 수요가 둔화된 영향이다.

하반기에도 환율 효과가 갑자기 사라지지 않는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미국 경제가 다른 나라보다 선방 중이고 이미 큰 폭으로 금리가 인상된 만큼 달러 강세, 원화 약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과거보다 높다"고 설명했다.

[강민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