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중국 수출 비중, 20년새 13배↑.. "기술격차 벌려야"

이은영 기자 2022. 8. 21.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 대(對)중국 수출 의존도가 20년 동안 13배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같은 조사에서 중국 수출 의존도가 가장 높은 산업군은 정밀기기, 정밀화학, 반도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아 ‘산업별 대중(對中) 수출의존도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중국 수출 비중이 큰 산업은 ‘정밀기기’(42.5%), ‘정밀화학’(40.9%), ‘반도체’(39.7%), ‘유리’(39.3%), ‘석유화학’(38.9%) 순으로 집계됐다. 2000년 ‘목재’(42.3%), ‘가죽·신발’(38.8%), ‘석유화학’(33.4%), ‘기타 전자부품’(27.2%) 등과는 확연히 달라진 순위다.

대한상공희의소 제공

대한상의는 “소비재의 중국 수출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기술집약 산업의 대중 수출이 크게 늘어난 양상”이라며 “한·중 양국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분석했다.

최근 20년 동안 중국 수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산업은 반도체였다. 2000년 반도체산업의 중국 수출 비중은 3.2%였지만, 2021년에는 39.7%로 36.5%포인트(p), 약 13배가량 증가했다. 이어 정밀기기(7.5%→42.5%, 35%p↑), 디스플레이(2%→35.2%, 33.2%p↑), 세라믹(5.6%→32.3%, 26.7%p↑), 통신기기(1.5%→27.9%, 26.4%p↑)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국내 고부가가치 산업의 중국 의존도가 증가했다는 것은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좁혀졌을 때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기업과 정부가 온 힘을 다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경제안보와 직결되는 고위기술 산업군은 대외 위험에 훨씬 민감하다”며 “수출다변화 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중 수교 이래 중국과의 교역은 빠르게 증가하며 한국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수교 후 8년 뒤인 2000년, 한국의 중국 수출 규모는 185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10.7%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1629달러로 9배 가까이 증가하며 전체 수출의 25.3%를 차지했다. 동기간 한국의 수출 규모가 3.7배 증가한 것(1723억 달러→6444억 달러)을 고려하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한 셈이다. 중국은 2003년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었던 미국을 앞지른 이후 지금껏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수입 규모는 2000년 128억달러로 그 비중은 8% 수준이었으나, 2021년에는 22.5% 수준인 1386억 달러로 증가해 10배 이상 늘었다. 반면 동기간 한국 수입 규모는 1605억 달러에서 6151억 달러로 3.8배 증가했다.

대중 교역 규모는 늘고있지만 교역수지는 반대로 악화하고 있다. 이대해 보고서는 원자재·중간재 등 분야에서 대중 수입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제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정책으로 인한 중국의 경제성장률 하락이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대중 수출은 상대적으로 적게 증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대중국 직접투자 양상 변화에도 주목했다. 2000년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는 8억달러 수준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67억달러로 크게 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누계액은 약 816억달러에 달한다. 보고서는 중국 내 한국의 직접투자 비중은 2.5~3% 수준으로 절대적인 규모는 크지 않지만, 화교 자본을 제외한 순수 외국 투자 중에는 일본과 함께 최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가장 달라진 점은 투자 목적이다. 2000년 이루어진 직접투자의 절반 이상은 ‘수출 촉진(51%)’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2021년에는 ‘현지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이뤄진 투자가 67%로 가장 많아지면서, 한국 기업들이 중국을 보는 시각이 생산입지에서 수요시장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지금의 중국시장을 바라보며 기업이 느끼는 위기감은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며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중국의 기술추격, 미중 패권경쟁 심화 등 3중고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