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폴드·플립4 사전 예약 호조..수혜주는 삼성전자 아닌 이것

김겨레 2022. 8. 21.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005930)의 폴더블폰 신제품 갤럭시 Z폴드·플립4이 사전 예약에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선 갤럭시 Z폴드·플립4가 흥행에 성공할 경우 삼성전자보다는 부품·장비주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16일 사전예약을 시작한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플립4는 지난해 출시한 갤럭시 Z 폴드·플립3와 상반기 출시한 갤럭시 S22보다 초반 판매고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폴더블폰 신제품 가격 사실상 동결
증권가 "삼성전자보다 부품·장비주 주목"

[이데일리 김겨레 기자] 삼성전자(005930)의 폴더블폰 신제품 갤럭시 Z폴드·플립4이 사전 예약에서 호조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선 갤럭시 Z폴드·플립4가 흥행에 성공할 경우 삼성전자보다는 부품·장비주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의 신제품 폴더블폰 ‘갤럭시Z폴드4’(폴드4)와 ‘갤럭시Z플립4’(플립4)의 사전예약을 시작한 16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삼성전자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폴더블폰이 전시돼 있다. (사진=이영훈 기자)
21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19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600원(0.98%) 하락한 6만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16일 사전예약을 시작한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플립4는 지난해 출시한 갤럭시 Z 폴드·플립3와 상반기 출시한 갤럭시 S22보다 초반 판매고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선 지난해 갤럭시 Z 폴드·플립3가 사전예약에서 92만대를 판매한 만큼 올해는 100만대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폴더블폰 신제품 호조에도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지난해보다 물가가 크게 상승했음에도 삼성전자가 전작 대비 가격을 사실상 동결했기 때문이다. 올해 들어 원재료값이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수익성을 일부 포기하고 시장 친화적인 가격을 책정한 것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레티지애널리틱스와 SK증권에 따르면 800달러 이상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019년 23%에서 지난해 8%로 줄었다. 같은 기간 애플은 76%에서 91%로 늘어났다.

3분기는 계절적 성수기로 분류되지만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분기와 유사할 전망이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재고가 높은 상황에서 하반기 성수기 진입에도 시장 수요의 회복 시그널이 확인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증권가에선 폴더플폰 관련 부품주를 주목했다. 폴더블 힌지 부품을 생산하는 KH바텍(060720)은 내년에도 힌지 기능 개선이 이어져 삼성전자 내 높은 점유율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폴더블폰 전면에 부착하는 특수 보호필름을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 공급하는 세경하이테크(148150)도 성장이 예상된다. 파인테크닉스(106240)(메탈플레이트) 이녹스첨단소재(272290)(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재) 비에이치(090460)(디스플레이 FPCB) 등도 수혜주로 꼽힌다.

갤럭시Z 폴드·플립4가 흥행할 경우 9월 이후 5G 통신 가입자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나증권은 3분기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통신장비 RFHIC(218410)·이노와이어리스(073490)·쏠리드(050890) 등을 수혜주로 꼽았다. 반면 통신사들은 전분기 대비 마케팅 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봤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도 “올해 들어 5G 가입자 유입 속도가 다소 둔화된 것은 플래그십 단말기가 기대 수준에 못미쳤기 때문”이라며 “단말기에 대한 반응이 좋으면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겨레 (re9709@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