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진 "강성 야당의 끝은 황교안" vs 이재명 "강한 민생 정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 향배를 가를 호남 대전이 시작됐다.
이 의원은 '강한 민생 정당'을 주창하며 이른바 '사당화 논란'을 의식한 듯 "성과가 있다면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광주·전남 TV토론에서 당헌 80조 개정요구가 절충안으로 마무리된 것과 관련 "당지도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 의원은 “정치탄압으로부터 민주당을 보호하는 것은 당헌이 아니다. 진실이고 민심, 단합된 힘이 지켜줄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헌 80조가 폐지되거나 개정된다면 국민의힘은 우리를 향해 ‘민주당 이제 돈 받아도 된다’며 말도 안 되는 마타도어를, 조롱을 할 수 있다”며 “국민은 다시 한 번 민주당에 실망하고 등을 돌릴 수 있다. 왜 우리가 차떼기 정당 후예들에게 조롱받고 국민에게 손가락질받을 긁어 부스럼 생길 논란에 빠져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사당화 논란’을 의식한 듯 ‘공천’ 기준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저는 계파 정치로 성공한 사람이 아니고 성과를 통해 정치를 해왔다. 계파 정치는 상상도 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오로지 공정한 시스템에 따라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하겠다. 능력과 충직함과 성과를 증명하는 분이라면 언제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공정한 정당을 반드시 만들겠다”고 말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광주·전남 TV토론에서 당헌 80조 개정요구가 절충안으로 마무리된 것과 관련 “당지도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친이재명’을 자처한 박찬대·장경태·정청래 최고위원 후보들은 당헌 80조를 삭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주=김현우 기자 with@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종민, 18년 함께한 ‘1박 2일’ 하차? → 제작진 “긍정적으로 논의”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시험관까지 하고 싶지 않아”...이효리, 2세 계획 발언에 누리꾼들 ‘시끌’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미주, 김희철과 1주년 자축 “온갖 텃세 참으며 활동...오래갈 줄 몰라”
- ’76세’ 전유성, 몰라보게 야윈 얼굴...조혜련 “마음이 울컥, 건강하시길”
- 혜은이, 스캔들 → 사망설까지...도 넘은 가짜뉴스에 황당 “연예인 해야 하나”
- 소지섭 닮은 신랑과 결혼 두 달 만에…티아라 효민 ‘별거’ 고백, 무슨 일?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