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연준 매의 발톱에 서머랠리 '움찔'..나스닥 2%↓

김정남 2022. 8. 20. 05:1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 고위인사들이 부쩍 '매의 발톱'을 들면서 투자 심리가 움츠러들었다.

'중립 인사'로 분류되는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매릴랜드주 오션시티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경기 침체를 감수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며 "물가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SJ "시장의 성급한 판단 문제 될 수도"
긴축 의지에 월가 달군 서머 랠리 '움찔'
연준 고위인사 "긴축 감수한 물가 억제"
국채금리 뛰자 빅테크주 중심으로 약세
'밈 주식' 대명사 BBBY, 하루만에 41%↓

[뉴욕=이데일리 김정남 특파원] 미국 뉴욕 증시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 고위인사들이 부쩍 ‘매의 발톱’을 들면서 투자 심리가 움츠러들었다.

(사진=AFP 제공)

19일(현지시간)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86% 하락한 3만3706.74에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29% 내린 4228.48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01% 내린 1만2705.22를 기록했다. 이외에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 2000 지수는 2.12% 내렸다.

3대 지수는 장 초반부터 하락 출발했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투자자들이 연준의 금리 인상 의지를 ‘블러핑’(허세)이라는데 베팅하고 있다”면서도 “이런 성급한 판단은 투자자들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시장이 연준의 금리 인하 전환 가능성을 두고 너무 앞서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지난 6월 중순부터 월가를 달군 ‘서머 랠리’가 움찔하는 기류가 짙어졌다.

연준의 긴축 언급은 이날 또 나왔다. ‘중립 인사’로 분류되는 토머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매릴랜드주 오션시티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경기 침체를 감수하더라도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것”이라며 “물가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는 경로가 있지만 그 과정에서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바킨 총재가 ‘침체를 각오한 긴축’을 언급한 것은 예상보다 매파적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슈퍼 매파’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전날 WSJ과 만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75bp(1bp=0.01%포인트) 금리 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히며 시장 공포를 키웠다. 그는 최근 언급했던대로 올해 말까지 금리를 4%까지 높여야 한다고 했다. FOMC 위원들 중 가장 높은 금리 수준이다.

긴축 우려가 부쩍 커지면서 시장금리는 뛰었다. 연준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3.295%까지 올랐다. 이에 애플(-1.51%), 마이크로소프트(-1.39%), 아마존(-2.86%), 알파벳(구글 모회사·-2.27%), 테슬라(-2.05%), 메타(페이스북 모회사·-3.84%), 엔비디아(-4.92%) 등 빅테크주들이 일제히 하락했다.

또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BBBY)의 주가는 전날 라이언 코헨 게임스톱 회장이 보유 지분 전량을 매각했다고 하면서 이날 하루에만 40.54 % 폭락했다.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는 기업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시장 참가자들 사이의 유행만으로 주가가 오르내리는 ‘밈(Meme) 주식’의 대명사로 불린다.

국제유가는 3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9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0.3% 오른 배럴당 90.7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세븐스 리포트 리서치는 “배럴당 80달러 중반대가 새로운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약세를 보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12%,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94% 각각 하락했다.

김정남 (jungkim@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