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해원의 말글 탐험] [174] ‘라고’가 어색할 때

양해원 글지기 대표 2022. 8. 19. 03: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가 오면 사진이 잘 나온다? 수재민(水災民) 돕는답시고 현장에 간 어느 나리 때문에 잠깐 알쏭달쏭했다. 정말 뭐라고 말했는지도 마찬가지. 매체마다 달랐으니까. “솔직히 비 좀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 나오게” “사진 잘 나오게 비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 나오게 비가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 나오게 비 좀 왔으면 좋겠다”….

남의 말 그대로 옮기는 일을 직접 인용(引用)이라 한다. 표시 부호는 큰따옴표(” “). 위에 옮긴 말 모두 이걸 썼으니 같아야 하건만 제각각이다. 정확하지도 않으면서 큰따옴표는 왜 붙였을까. 역시 알쏭달쏭하다.

인용격 조사 ‘라고’와 ‘고’도 그렇다. ‘이 단체는 “…정부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라고’가 직접 인용을 나타낸다는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맞게 쓴 문장이긴 한데…. 간접 인용 조사라는 ‘고’를 대신 써보자. ‘이 단체는 “~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으나, ‘라고’보다 ‘고’를 쓸 때 매끄럽다. 그리 말해야 더 자연스러우니까.

‘”에어컨보다 자연 바람이 좋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와 ‘”~ 좋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를 비교해보자. 역시 앞 문장은 거북스럽지 않은가. 이럴 때 직접 인용 표시는 큰따옴표로 족하다.

하면 ‘라고’를 무조건 버려도 괜찮을까. 그럴 수 없다. ‘”네가 가면 좋지”라고 형이 말했다’를 ‘”~ 좋지”고 형이 말했다’ 하면 말이 되겠는가. ‘라고’ 대신 ‘고’를 쓰려면 직접 인용이 ‘다’나 ‘(느)냐’(“언제 가냐”고) ‘자’(“내일 가자”고) 같은 일부 종결어미로 끝나야 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다’ ‘아니다’ 뒤에서는 ‘라고’가 자연스럽다. ‘”내 돈이다”고 외친’/’”내 돈이 아니다”고 외친’보다 ‘”내 돈이다“라고’/’”내 돈이 아니다”라고’ 해야 어울리듯이.

알쏭달쏭한 게 또 있다. 재난 현장에서 컵라면 먹었다고 장관이 결국 쫓겨난 그 나라 맞는지 말이다. 물난리에 기우제(祈雨祭) 지낸 국회의원은 별다른 소식이 없는데.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