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위 대표 사건 '서산개척단'도 사과·보상 없이 '시간만..'

이윤우 2022. 8. 18. 21: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 차원의 집단 인권침해가 규명된 첫 사건조차도 후속 조치에 전혀 진전이 없습니다.

'서산 개척단' 사건입니다.

보상은 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한 피해자들은 대부분 80대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어서 이윤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푸르게 펼쳐진 광활한 논밭.

["우리가 다 만든 거예요. 이거 바다였었지."]

바다였던 이곳은, 박정희 정권 때였던 1960년대 초, 강제 동원된 시민 800여 명이 몸으로 개간해서 일군 땅입니다.

[정영철/서산개척단 피해자 : "우리 친구들 다섯 명이 자고 있는데 군경이 덮쳐가지고 끌려가서 기관총으로 이렇게 들이대고..."]

흙과 돌로 바다를 메우는 노역, 매일 반복되던 감시단의 폭행,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습니다.

[장화자/서산개척단 피해자 : "여자들만 이렇게 또 있는 집도 있었어요. 이게 사람 살 데가 아니었어요."]

탈출하지 못 하도록, 강제로 합동 결혼식까지 올리게 한 정부.

일하면 땅을 주겠다던 약속도 지키지 않았습니다.

[성재용/서산개척단 피해자 : "(서산에) 가면 땅이고 뭐고 다 준다고 그래 놓고. 값 다 치러야 농사짓고 임대료 내고..."]

진화위는 지난 5월 서산개척단 피해자들에 대한 국가의 인권침해를 인정했습니다.

정부 차원의 집단 인권침해 사건 가운데 첫 진실 규명이었지만, 달라진 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보상도, 명예회복 조치도, 뒤따르는 게 없고, 그 사이 생존자 수는 또 줄었습니다.

[윤기득/서산개척단 피해자 유족/수어통역 : "(얼마 전에 어머님이 돌아가셨는데 어떠셨는지?) 많이 안 좋았죠. 마음이 많이 아팠습니다."]

처음 서산에 왔을 때 20대 청년이었던 피해자들, 어느덧, 80대가 됐습니다.

이제, '증언'할 사람조차 많이 남아있질 않습니다.

[이정남/서산개척단 피해자 : "살면 우리들이 몇 년이나 살겠어요. 우리 죽기 전에 빨리 어떻게 조치를 해주든지. 말로만 뭐 잘못했다고 했지."]

KBS 뉴스 이윤웁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이윤우 기자 (yw@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