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대한극장

손성진 2022. 8. 18. 18: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80년대까지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에서 충무로역에 이르는 돈화문로와 충무로 일대는 영화의 거리였다.

단성사·피카디리·서울·국도·명보·스카라·대한극장 등 개봉관들이 즐비해 주말이면 영화를 보려는 관객들로 거리가 북적였다.

단 두 개, 대한극장과 서울극장이 마지막까지 버텼지만 서울극장이 지난해 8월 31일 먼저 스크린을 걷었다.

주인이 바뀌었어도 대한극장은 꿋꿋이 관객을 맞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극장의 영화 상영 홍보 포스터. 사진=뉴시스
1980년대까지 서울 지하철 종로3가역에서 충무로역에 이르는 돈화문로와 충무로 일대는 영화의 거리였다. 단성사·피카디리·서울·국도·명보·스카라·대한극장 등 개봉관들이 즐비해 주말이면 영화를 보려는 관객들로 거리가 북적였다. '겨울 여자' '별들의 고향' '영자의 전성시대' 같은, 이제는 전설이 된 한국 영화들이 은막을 장식했다.

옛 영화관들은 스크린이 하나뿐인 단관(單館)이어서 요즘 같은 천만 관객은 꿈도 꿀 수 없었다. 1970년대 한국 영화 흥행 1위인 '겨울 여자'의 관객동원 수가 겨우 58만명 정도였다. 1980년대에 보급된 VTR은 이미 TV에 관객을 빼앗겼던 극장가에 큰 타격을 주었다. 결정적인 '한방'은 1998년 처음 선보인 복합상영관이었다.

단관 극장들은 안락한 의자와 첨단시설을 갖춘 복합상영관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 내부구조를 개조하며 대항했지만 역부족이었다. 1907년에 문을 연 한국 최초의 상설 영화관인 단성사를 비롯, 한국 영화 100년의 역사를 품은 옛 극장들은 하나둘 사라져갔다. 단 두 개, 대한극장과 서울극장이 마지막까지 버텼지만 서울극장이 지난해 8월 31일 먼저 스크린을 걷었다. 이제 대한극장만이 상징적 존재로 남아 고군분투하고 있다.

1958년 문을 연 대한극장은 초대형 스크린과 70㎜ 영사기 등 당시로서는 현대식 시설을 갖추었다. 그러나 세월을 이기지 못했다. 국씨 집안에서 운영하던 대한극장은 지난해 2월 부산의 중견기업인 우양수산에 매각됐다고 한다. 주인이 바뀌었어도 대한극장은 꿋꿋이 관객을 맞고 있다. 상영시간을 낮 12시부터 밤 9시까지로 줄였다. 생존방책의 하나다. 그 덕분에 오후 1시에 조조(早朝) 요금으로 영화를 볼 수 있다. 더구나 조조 요금을 올리지 않고 7000원을 고수하고 있다. 이 시간대 요금의 반값에 볼 수 있는 셈이다. 어쨌든 올드팬들은 대한극장이 어려움을 끝까지 잘 견뎌내고 살아남기만을 바란다.

tonio66@fnnews.com 손성진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