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문화가 있는 날, 연극이 있는 문래' 연극 '진흙' 공연

김태윤 기자 2022. 8. 18. 17: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계없는예술센터가 대학로 상명아트홀과 문래창작촌 스페이스T에서 연극 '진흙'을 공연한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진흙'은 7월 문래창작촌 스페이스T에서 개막해 대학로로 진출한 작품이다.

경계없는예술센터 측은 "프로젝트를 통해 코로나 시대를 위로하고 일상에 영감을 줄 수 있는 작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면서 "'진흙' 공연을 통해 관객들은 삶을 살아가는 흥미와 지혜를 얻고, 젊은 연극인들은 대학로 무대에서 한층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문화가 있는 날, 연극이 있는 문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공연하는 연극 '진흙' 포스터/사진제공=경계없는예술센터

경계없는예술센터가 대학로 상명아트홀과 문래창작촌 스페이스T에서 연극 '진흙'을 공연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공연은 6월부터 12월까지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젊은 연극인들의 버킷 리스트 작품을 선별해 공연하는 '2022 문화가 있는 날, 연극이 있는 문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열리는 것이다. 특히 '진흙'은 7월 문래창작촌 스페이스T에서 개막해 대학로로 진출한 작품이다. 오는 19일부터 3일간 대학로 상명아트홀에서 공연을 진행하고, 31일 다시 스페이스T에서 공연을 갖는다.

경계없는예술센터 측은 "프로젝트를 통해 코로나 시대를 위로하고 일상에 영감을 줄 수 있는 작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면서 "'진흙' 공연을 통해 관객들은 삶을 살아가는 흥미와 지혜를 얻고, 젊은 연극인들은 대학로 무대에서 한층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흙'은 1983년에 초연된 마리아 아이린 포네스 작가의 작품이다. 사회의 변두리로 내몰린 소외되고 고립된 최하층민 세 명의 이야기로 '억압의 굴레로부터 탈출하자'는 주제를 담고 있다.

작가 마리아 아이린 포네스는 쿠바 출생 미국 이민족이다. 오비상과 미국학술원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대표 작품으로 '3의 성공적인 삶', '싸리타', '진흙', '난 바르게 살고 싶다', '페푸와 그녀의 친구들' 등이 있다.

[관련기사]☞ 아이비, 426만원 '주차요금 폭탄'…어디 주차했길래닭 팔아 '월 1억' 버는 30대 사장…"한 가지 철칙 있다"배일호 "메니에르 증후군 걸려 생사 고비"…증상 어떻길래?"안 되는 게 어딨니?" 유행어 낳은 고혜성, 스타강사된 사연'이혼 소송' 조민아 몸무게 충격 "14개월 아들과 합쳐서 49㎏"
김태윤 기자 tyoon8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