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트윈으로 홍수피해 예방
화재·스토킹 등 구조체계 확보
디지털 트윈,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해 산업 현장이나 가정 내 안전성을 높이고 홍수나 산불 같은 자연재해를 예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18일 정부는 제5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합동으로 수립한 이 방안은 디지털 혁신 기술을 융합해 일터, 생활 공간, 재난을 비롯한 3대 안전 분야에서 사회적 안전관리 역량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다.
도시·생활안전 분야에서는 건물 화재, 스토킹 범죄와 같은 실내 긴급상황 구조 골든타임 확보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오차범위가 반경 200m에 이르며 실내에선 활용이 어려운 기지국 신호 기반 측위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와이파이 같은 다양한 신호를 활용한 실내측위 시스템을 표준화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오차범위가 반경 50m 내외인 와이파이 기반 표준화된 실내측위 시스템을 연말까지 개발한 뒤 통신사와 단말 제조사와 협의해 상용화하면 긴급구조 체계가 훨씬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환자나 노인이 숨을 쉬지 않거나 움직이지 않는 등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레이더 주파수(70㎓ 대역)를 공급하기로 했다. 기존 폐쇄회로(CC)TV와 비교해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안전을 확보하는 방식이다.
기후변화로 급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위기 관리 체계도 강화한다. 최근 '서울 강남역 침수 사태'처럼 반복되는 도시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침수 대응 시스템을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미 광주광역시에서 관련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도시 지역 하수구역의 3D 공간정보와 IoT가 수집한 배수정보를 토대로 피해를 예측하고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산업 현장의 중대재해 예방도 강화한다.
[우수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잡고 잡히는 레이스…이변 속출한 MK챌린지
- `독립운동` 같은 캠페인, 1주간 5천만원
- 디지털트윈으로 홍수피해 예방
- KT, 인공지능 초등교육 플랫폼 출시
- 카러플 슈퍼스타 `민기` 뜨자 관중석 환호성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