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미시간기술과 고농도 폐수처리 기술 개발 협약

김순환 기자 2022. 8. 18.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환경사업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중인 SK에코플랜트가 미생물로는 분해가 어려운 고농도 폐수 처리 관련 신기술 개발에 나섰다.

SK에코플랜트는 서울 종로구 관훈사옥에서 ㈜미시간기술과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스마트 전기·화학적 산화 시스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폐수처리 기술 협약 : 김병권(왼쪽)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와 이병호 ㈜미시간기술 대표가 서울 종로구 SK에코플랜트 관훈사옥에서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스마트 전기·화학적 산화시스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제공

국내 최초 ‘전기·화학적 수처리 신기술’로 고농도 폐수 정화 실증 나서

환경사업 고도화를 위한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중인 SK에코플랜트가 미생물로는 분해가 어려운 고농도 폐수 처리 관련 신기술 개발에 나섰다.

SK에코플랜트는 서울 종로구 관훈사옥에서 ㈜미시간기술과 ‘고농도 폐수처리를 위한 스마트 전기·화학적 산화 시스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와 이병호 ㈜미시간기술 대표 등이 참석했다.

㈜미시간기술은 하폐수 처리기술 전문 환경기업으로 2002년 설립 이래 20여년간 축적한 관련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사는 ‘붕소 코팅 다이아몬드(BDD·Boron dopped Diamond)’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산화(ECO·Electro-Chemical Oxidation) 방식’의 고농도 폐수 처리 신기술 개발 및 현장 실증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SK에코플랜트와 ㈜미시간기술은 전극을 활용해 전기·화학적으로 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전극에 전류를 흘렸을 때 폐수와 전극 사이에서 전자가 교환되는 원리를 활용한다. 이 방식은 다른 수처리 방식과 달리 정화가 2번에 걸쳐 이뤄진다. 음전극에서 생성되는 ‘수산화 라디칼’은 직접 오염물질을 분해한다. 폐수 내 오염물질인 염소가 물과 만나면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은 폐수 내 유기물을 한 번 더 정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깨끗한 물만 남기는 고도처리 솔루션이다. 양 사가 이번 연구에 사용하는 붕소(Boron) 코팅 다이아몬드 전극은 다른 전극에 비해 정화 효율과 내구성이 매우 높아 3세대 전극으로 불린다.

전기·화학적 수처리 기술은 뛰어난 오염물질 제거효율과 높은 경제성으로 인해 이전부터 각광을 받아왔다. 폐수 처리 시 화학약품의 사용이 전혀 없고 찌꺼기(폐기물) 발생이 매우 적다. 처리시설의 구조도 간단해 정화를 위한 수조의 규모나 개수가 적어 설치, 운영하는데 필요한 부지 효율성이 좋은 것도 특징이다.

하지만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기·화학적 기술이 수처리 현장에 적용되지 못한 이유는 아직 국내 실증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연구실 규모의 실험으로만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인한 수준이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사는 국내 최초로 실제 현장에 실증 규모로 BDD 전극을 활용한 전기화학적 산화 설비를 구축하기로 했다. 실제 SK에코플랜트가 보유한 매립지 침출수 처리장과 폐수처리장을 대상으로 단기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약 80%의 운영비 절감 효과가 확인됐다. 양 사는 앞으로 1년여간 장기 연속운전 실증을 통해 전극의 내구성과 효율성 등을 판단하는 테스트를 지속할 예정이다. ㈜미시간기술은 앞으로 전기화학적 수처리 기술이 적용된 장비의 설치와 운영, 효율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SK에코플랜트는 공동기술개발을 총괄하며 테스트 결과를 종합해 최적운영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또 인공지능 및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무인화 공정 개발에도 나선다. 향후 기존 하·폐수처리시설을 포함해 고농도 폐수가 발생하는 사업장에 신기술 적용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병권 SK에코플랜트 에코랩센터 대표는 "혁신 기술들을 지속 발굴해 환경사업을 고도화하는 노력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순환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