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고온 장해 줄이는 자동 미세살수 기술 선보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미래형 사과 재배 기술을 연구하는 사과연구소(경북 군위)에서 17~18일 사과 재배 농업인 단체(사과사랑동호회, 회장 홍성일) 회원을 대상으로 자동 미세살수 장치를 선보이는 공동연수(워크숍)를 연다.
이번에 사과연구소에서 선보인 미세살수 장치는 사과나무 위쪽에 관(노즐)을 2m 간격으로 설치하고, 추가적으로 과수원 안에 온도 감지기(센서)를 설치해 대기 온도가 31도(℃) 이상일 때 물이 자동으로 나오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미래형 사과 재배 기술을 연구하는 사과연구소(경북 군위)에서 17~18일 사과 재배 농업인 단체(사과사랑동호회, 회장 홍성일) 회원을 대상으로 자동 미세살수 장치를 선보이는 공동연수(워크숍)를 연다.
사과는 고온기 직사광선에 오래 노출되면 열매 표면 온도가 기온보다 8~15도(℃) 높아져 색이 변하는 ‘햇볕 데임’ 피해가 발생한다. 또한, 온도 스트레스로 세포벽이 변하고 전분이 파괴되거나 당 성분(솔비톨)이 부분적으로 모여 과육과 열매 중심 일부에 물이 스며든 모습으로 변하는 ‘밀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미세살수 장치는 장마와 태풍 이후 고온과 강한 햇빛으로부터 잎과 열매의 햇빛 데임(일소)과 열매의 밀증상을 줄이는 방법의 하나이다. 즉 사과나무 윗부분에 배관과 물 나오는 관(노즐)을 설치하고 이 관을 통해 물을 미세하게 뿌려 나무 온도를 떨어뜨리는 시스템이다.
2018년 사과연구소에서 열대야 기간 동안 밤 온도를 25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18시 이후 2시간 간격으로 30분간 2회 물을 미세하게 뿌린 결과, ‘홍로’ 품종의 밀증상이 30% 이상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이번에 사과연구소에서 선보인 미세살수 장치는 사과나무 위쪽에 관(노즐)을 2m 간격으로 설치하고, 추가적으로 과수원 안에 온도 감지기(센서)를 설치해 대기 온도가 31도(℃) 이상일 때 물이 자동으로 나오도록 한 점이 특징이다.
물이 나오는 온도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과수원 안의 인터넷 환경이 조성돼 있으면 목표로 하는 온도 조건에 따라 휴대폰을 이용해 미세살수 장치를 가동할 수 있다. 즉, 온도가 내려가면 자동으로 물이 멈추고,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물이 나오게 된다. 또한, 물 나오는 시간이 30분을 초과하면 물이 멈추도록 설정돼 있다.
현장 공동연수에 참석한 사과 재배 농업인들은 미세살수 장치가 있는 기존 과수원에서 온도 감지기 하나를 추가하는 비용만으로 물 뿌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이 기술을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소장은 “온도 감지기(센서)가 설치된 미세살수 시스템을 활용하면 사과 과수원의 고온기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사과 과수원에서 고온기 햇빛 데임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지 제거 작업과 잎 따기 작업을 늦춰 그늘을 유지하거나, 차광망을 설치해 그늘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염화칼슘(0.3%), 탄산칼슘(50배 희석, 4~5회)이나 카올린(50배 희석, 4~5회)을 뿌리는 것도 피해를 막는 한 방법이다.
copyrightⓒ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