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영문 동시배포) 문화재청,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日影圓球)' 공개

2022. 8. 18. 10:09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난 3월 미국 경매를 통해 매입한《일영원구(日影圓球)》를 8월 18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에서 언론에 공개하고, 기존에 열리고 있던 환수문화재 특별전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7.7~9.25)’을 통해 19일부터 일반에 공개한다.
※ 일영원구 재질: 동, 철 / 크기: 높이 23.8cm, 구체 지름 11.2cm

  ‘일영원구’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바 없는 희귀 유물로, 국외 반출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당초 소장자이던 일본 주둔 미군장교의 사망 이후 유족으로부터 유물을 입수한 개인 소장가가 경매에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사무총장 김계식)은 작년 말 해당 유물의 경매 출품 정보를 입수한 이후 면밀한 조사와 문헌 검토 등을 거쳐 지난 3월 미국의 한 경매에서 이 유물을 낙찰 받아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형(球形)의 휴대용 해시계라는 점, ▲ 전통 과학기술의 계승·발전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라는 점, ▲ 명문과 낙관을 통해 제작자와 제작 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과학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 명문(銘文): 금석(金石)이나 기명(器皿) 따위에 새겨 놓은 글
* 낙관(落款): 글씨나 그림에 작가가 자기 이름이나 호를 쓰고 도장을 찍는 일 또는 그 이름이나 도장

  먼저, 반구(半球)의 형태로 태양의 그림자를 통해 시계를 확인하는 영침(影針)이 고정되어 있어 오로지 한 지역에서만 시간을 측정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와 달리, ‘일영원구’는 둥근 공 모양인 원구(圓球)의 형태로 두 개의 반구가 맞물려 각종 장치를 조정하면서,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당시 과학기술의 발전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영침(影針): 해그림자를 만들기 위한 뾰족한 막대

  전문가 검토에 따르면 ‘일영원구’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 먼저 다림줄(사진 2, 3)*로 수평을 맞추고, ▲ 나침반으로 방위를 측정하여 북쪽을 향하게 한 후, ▲ 위도조절장치(추정, 사진 4)를 통해 위도를 조정한 뒤, ▲횡량(사진 5)에 비추는 태양의 그림자가 홈 속으로 들어가게 하여 현재의 시간을 알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 다림줄: 수평이나 수직을 헤아려보기 위해 추를 달아 늘어뜨리는 줄로, 현재는 유실된 것으로 보여지나 CT 촬영으로 흔적 확인

  한쪽 반구에는 12지(十二支)의 명문과 96칸의 세로선으로 시각을 표시하였는데, 이는 하루를 12시 96각(刻, 15분)으로 표기한 조선 후기의 시각법을 따른 것이다. 또한 정오(正午) 표시 아래에는 둥근 구멍(시보창[時報窓], 사진 6)이 있어,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쪽의 반구를 움직이면, 이 창에 12지의 시간 표시(시패[時牌])가 나타나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 ‘일영원구’의 시보창에 표시되는 시패는 총 9개로, 12지 중 해(亥)·자(子)·축(丑)이 표시되지 않음. 해시계는 해가 떠 있는 시간 동안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가 뜨지 않는 시간인 해시(21시∼23시), 자시(23시∼01시), 축시(01시∼03시)는 표시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됨.

  국보로 지정된 자격루와 혼천시계에서도 12지로 시간을 나타내는 시보(時報) 장치를 둔 사실로 미루어보아 조선의 과학기술을 계승하는 한편, 외국과의 교류가 증가하던 상황 속에서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새로이 고안된 유물로 추정된다.

  이외에도 원구에 새겨진 선과 명문의 정확한 용도, 구체적인 작동 원리 등 새로운 유물사·과학사적 내용들은 향후 추가 조사와 연구를 통해서 밝혀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영원구’는 제작 시기와 제작자를 알 수 있는 과학유물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한쪽의 반구에는 ‘대조선 개국 499년 경인년 7월 상순에 새로 제작하였다(大朝鮮開國四百九十九年庚寅七月上澣新製)’는 명문과 함께, ‘상직현 인(尙稷鉉印)’이 새겨져 있어, 1890년 7월 상직현이라는 인물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사진 9).
『고종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상직현(尙稷鉉, 생몰년 미상)은 고종대 활동한 무관으로 주로 총어영(摠禦營) 별장(別將)과 별군직(別軍職) 등에 임명되어 국왕의 호위와 궁궐 및 도성의 방어를 담당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 총어영(摠禦營): 고종대 설치된 군영(軍營)의 하나로 국왕 호위와 궁궐 및 도성 방어를 담당함
* 별장(別將): 조선시대에 각 영(營)·청(廳)에 소속되어 있던 군관
* 별군직(別軍職): 조선시대 후기 국왕의 신변 보호를 담당한 관직

  또한 유물이 제작된 시기인 조선후기의 주조 기법과 은입사 기법 등의 장식 요소가 더해진 점도 주목된다. 네 개의 꽃잎 형태로 제작된 받침에는 용, 항해 중인 선박 그리고 ‘일월(日月)’이 상감되어 있어(사진 7), 향후 금속공예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주조(鑄造): 녹인 쇠붙이를 거푸집에 부어 물건을 만듦
* 상감(象嵌): 금속·도자기 등의 표면에 여러 가지 무늬를 파서 그 속에 금은(金銀) 등을 넣어
채우는 기술. 또는 그 작품.

  ‘일영원구’는 8월 19일부터 국립고궁박물관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2022. 7. 7.∼9. 25.) 특별 전시를 통해, 앞서 지난 달 환수되어 공개된 조선 왕실 유물 ‘보록’과 함께 국민에게 공개될 예정이며, 추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연구·전시 등에 폭넓게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환수는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행정 지원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축적된 경험, 관계자 네트워크,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성사될 수 있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외에 있는 중요 한국문화재를 적극적으로 발굴, 조사하여 선제적으로 보호·활용할 계획이다.

※ 국외소재문화재 매입사업은 복권기금으로 추진되었습니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Administrator: Choi EungChon) will soon unveil the Iryeongwongu(Spherical Sundial) that was acquired at an auc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past March. The Iryeongwongu will be presented to the press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NPMK; Director: Kim In Kyu) on August 18 at 10 a.m and displayed to the public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held at the NPMK from August 19 through September 25.

※ Iryeongwongu (Spherical Sundial) Material: Bronze, Iron / Dimensions: 23.8 cm (height), 11.2 cm (diameter of the sphere)

The Iryeongwongu (Spherical Sundial) is a rare relic that had not been known to academia.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undial had been removed from Korea are unknown, but the item was auctioned off by a private collector who had acquired it from the bereaved family of U.S. military officer who had been stationed in Japan.

The CHA and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KCHF; Secretary General: Kim Kae Sik) carried out detailed investigation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Iryeongwongu upon first obtaining information on its auctioning late last year. They eventually succeeded with the repatriation after acquiring it at an auction held in the United States this past March.

The Iryeongwongu, the first known Korean portable globular sundial, carries high historical and scientific value since its producer and production dat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eaturedinscription and seal. It also clearly demonstrate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Sundials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generally hemispherical (a type known as Angbuilgu in Korean). The gnomon* that allows tellingthe time through the shadow cast by the sun is affixed to a platform allowing the exact time to be measured only at a single location. However, the returned Iryeongwonguwas made in the form of a sphere, demonstrating a marked difference from more conventional sundials. It was designed to allowthe measurement of time in different regions by adjusting the body (comprised of two attached hemispheres) and a bar attached to the sphere. Itis a precious heritage item demonstrating the achievement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at the time.

* Gnomon: a sharp rod serving to cast a shadow

To measure time using the Iryeongwongu, it was leveled with a plumb line (Figs. 2, 3),* directed towards the north using a compass, and the latitude was set with the adjuster (Fig. 4). When the cast shadow falls into the groove, the current time appears in the sibochang (literally, time indicating window),a hole on the body.

* Plumb line: a piece of string with a weight attached to one end that is used to determine ifsomething is perfectly horizontal or vertical. Currently, the plumb line of the sundial appears to be lost, but trace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CT scans.

One of the hemispheres is marked with ninety-six vertical lines and an inscription of the twelve animals of the zodiac as an indication of time. 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time system us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divided the day into twelve hours and ninety-six gak (one gak = fifteen minutes). Moreover, below the noon mark is a round hole known as asibochang (Fig. 6). When the other hemisphere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un, a tab appears through the hole indica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 The Iryeongwonguhas a total of nine tabs that can appear in the sibochang hole. Among the twelve zodiac animals, time slots corresponding to the pig, rat, and ox do not appear. It is logical that the time slots for the pig (21:0023:00), rat (23:001:00), and ox (1:003:00), the hours when there is no sun, were omitted since a sundial can only be used when the sun is out.

The Jagyeongnu (Clepsydra) of Changgyeonggung Palace and the Honcheonsigye (Armillary Clock), both of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were also equipped with devices indicating time in accordance with the twelve animals of the zodiac system. Through this, it can be estimated that the Iryeongwongu (Spherical Sundial) succeed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Joseon Dynasty but was newly designed for use outside of Korea (such as out at sea while sailing)in the face of increasing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he Iryeongwonguis a scientific device created using precision metal casting techniques and adorned with delicate silver sanggam inlay.* The base in the shape of flower with four petals is inlaid with designs of a dragon, a sailing ship, and the Chinese characters “日” (sun) and “月” (moon) (Fig. 7).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future for the study of various fields, including metalcrafts.

* Casting: a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liquid metal is poured into a mold
* Sanggam: A technique involving the incision of varied designs onto surfaces such as metal and ceramics and filling in the carved space with materials such as gold or silver.

The repatriated item is also important since it is a scientific relic with a known producer and date ofcreation. On one of the hemispheres is an inscription reading “大朝鮮開國四百九十九年庚寅七月上澣新製” (meaning, “newly produced at the beginning of the seventh lunar month of thegyeongin year (twenty-seventh year in the sexagenary cycle) corresponding to the 499th year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ogether with a seal reading “尙稷鉉印” (seal of Sang Jikhyeon). This indicates that the sundial was produced by a person named Sang Jikhyeon (dates unknown) in the seventh month of 1890 (Fig. 9). According to TheAnnals of King Gojong (Gojong Sillok) and Daily Record of the Grand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Sang Jikhyeon was a military official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He had been appointed to the positions of chongeoyeong,* byeoljang,** and byeolgunjik,*** and was responsible for escorting the king and defending the palace and capital.

* Chongeoyeong: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this is a garrison that was responsible for guarding the king and defending the palace and capital.
** Byeoljang: A military officer affiliated with a yeong (regiment) orcheong (administrative office) during the Joseon Dynasty
*** Byeolgukjik: A government post in charge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king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ignificant new data for the study of history and science are expected to be revealed through future investigations into the purpose of the lines and inscriptions incised on the body and the functional principles of the sundial.

The Iryeongwonguwill be unveiled to the public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starting August 19 as part of the special exhibition Treasures of Ours, Treasured by Others: Journey of Korean Cultural Heritage (July 7September 25, 2022). It will be displayed together with Borok (Case for Holding a Royal Seal)that was returned to Korea last month. The returned item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research and exhibitions at the museum.

The repatriation of the item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CHA’s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OKCHF’s accumulated expertise, trained personnel, and close collaboration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The CHA and OKCHF plan to continue their strenuous efforts at the active search, survey, and preemptiv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important Korean cultural heritage objects held in overseas collections.

※The acquisition of the item was carried out through the National Lottery Fund.

< 일영원구(日影圓球) >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