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일논단] KBS, 이천오백원이 아까운 이유

강병호 배재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2022. 8. 18.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강병호 배재대 미디어콘텐츠학과 교수

'KBS 한국방송'은 수신료를 징수한다. 1994년부터 2500원을 전기요금에 섞어 조용히 가져간다. 최근 국회에서 KBS 수신료를 전기요금에서 분리하는 방안도 언급되고 있다. 요즘 유행하는 OTT 서비스 '유튜브 프리미엄', '넷플릭스', '애플TV' 구독료에 비교해 KBS 수신료는 3-4배 저렴하다. 그렇지만 매년 여론의 도마에 오른다. 왜 그런 것일까?

KBS는 정치 편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박용호(아나운서), 박찬숙(기자), 신은경(아나운서), 이윤성(앵커), 민경욱(앵커), 전여옥(기자), 안형환(기자), 고민정 (아나운서), 정필모(부사장) 등은 대표적인 KBS출신 전·현직 정치인들이다. 방송법에 KBS이사는 '당원 또는 당원의 신분을 상실한 날부터 3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으로 제한한다. 길거리에서 서명 한 번으로 정당 가입이 쉬운 한국에서 정당원이 KBS 임원으로 들어오는 것은 원천적으로 막고 있다. 반대로 방송인이 정치인 되는 길에 제한이란 없다. 언론인들이 정치권으로 갈 때 성찰의 시간을 가진 때가 있었다. 오래 전 이야기다. 최근에는 오늘 마이크 던지고 내일 정당, 선대위, 권력기관으로 간다. 방송인에서 하루아침에 정치인으로 변신하면 KBS 보도의 정치 편향도 비례해서 의심 받는다. 보도, 논평을 통해 자기정치 기반 쌓아온 것 아닌지? 출입처, 취재 인맥은 정치적 입지 다지기 위한 것은 아닌지 합리적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 KBS출신 정치인들이 많은 것은 매달 국민 호주머니에서 수신료 걷어 정치 후보생들 장학금 준 것과 다른 것이 없다.

KBS를 비롯한 방송의 편향성은 선거철이면 빠지지 않는다. 작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중 KBS는 16년 전 오세훈 후보가 처가 땅 측량현장에 있었다는 보도를 했다. '생태탕', '페라가모' 등 입증은 애매하고 자극적인 보도를 14번이나 했지만 민주당 박영선 후보 '일본 도쿄 아파트', 'SK 네트웍스 후원금' 의혹 등에 대해 언급을 애써 아꼈다. 선거 후 이렇다 할 해명도 없다. 이 같은 보도 성향은 2022년 대선에서 그치지 않았다. '뉴스 9', '최강시사', '주진우 라이브' 등 프로그램은 특정 후보를 노골적으로 두둔하고 편향적인 출연자를 섭외해 의견을 방송하는 등 한쪽은 띄우고 다른 쪽은 비꼬았다는 의견이 많다. 심지어 드라마를 통해 특정 세력을 지원한다는 지적도 있다. 자신과 관련된 비리의혹 관계자가 사망하자 이재명 의원은 "'무당의 나라' 돼서 그런지…"라고 했는데 이 '무당의 나라'를 참 잘 그린 KBS 드라마가 있다. 최근 드라마 '미남당'에서 극중 '참보수당' 정치인은 재벌을 감싸고 '여자무당'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장면이 나온다. 국민들에게 전달하고픈 메시지가 안쓰럽게 노골적이다. 이런 보도, 제작에 관여한 KBS 관계자들이 몇 년 뒤 어떤 대외 행보 벌릴지? 시청자들도 KBS가 생각하듯 더 이상 어리석지는 않다.

'KBS 1' 프로그램이 끝나면 "이 프로그램은 시청자 여러분의 소중한 수신료로 제작 되었습니다"라는 자막이 뜬다. 제작에는 수신료를 소중히 쓰지만 인사관리에는 그렇지 않은 것 같다. 경제가 최악인 지금, KBS의 방만 경영에 국민들은 눈살을 찌푸린다. 2020년 기준 KBS 직원 중 1억 원 이상 연봉자는 46.4% 이 중 무보직자가 1500명이란 통계가 있다. 감사원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KBS의) 상위직급이 지나치게 많은 인력구조는 창의성이 절실한 조직에서 상당한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세계적으로 KBS 같은 공영방송은 환영받지 못하는 구시대 유물이 되고 있다. 일본에는 2013년 'NHK 수신료를 내지 않는 당'이 창당되고 2019년에 참의원 의원이 당선되었다. KBS가 정치인을 막기 위해 부과한 '3년의 제한'을 스스로 짊어 질 때 국민들의 호응을 받을 수 있다. KBS 구성원은 퇴사 후 일정기간 정치권이나 권력기관에 몸을 담지 않겠다는 자율적이고 구체적인 (기명)선언부터 해야 한다. 이것이 공영방송이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작지만 의미 있는 시작이다.

이도저도 싫다면 '수신료 분리 징수'는 떳떳이 받아야 한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