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서해 피격' 연이틀 압수수색..윗선 수사 시동

장효인 2022. 8. 17. 19: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을 수사하는 검찰이 해양경찰청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월북' 판단이 나왔다가 뒤집힌 경위를 살피려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연이틀 전방위 압수수색에 이어 '윗선' 소환이 가까워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장효인 기자입니다.

[기자]

피격 공무원 월북 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연이틀 강제수사에 나섰습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1부는 해양경찰청 본청과 서버 소재지 등에서 관련 전자문서와 내부 메신저 자료 등을 확보했습니다.

해경은 이대준 씨가 북한군에게 피살되고 한 달 뒤 자진 월북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발표했다가, 2년 뒤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윤성현 / 해경 수사정보국장(2020년 10월)> "월북 의사를 표명한 구체적인 정황 등을 고려할 때 실종자는 정신적 공황 상태에서 현실 도피의 목적으로 월북한 것으로…"

<박상춘 / 인천해양경찰서장(지난 6월)> "현장 조사와 국제 사법 공조 등 종합적인 수사를 진행했으나 월북 의도를 인정할 만한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유족이 중간수사 발표와 관련된 해경 관계자들을 '월북 조작' 혐의로 고발한 만큼, 검찰은 압수물을 근거로 월북 판단이 나왔다가 번복된 경위 전반을 재구성할 전망입니다.

검찰은 전날에도 박지원 전 국정원장과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의 자택과 사무실 등 10여 곳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이들은 첩보 보고서 무단 삭제와 '월북 몰이' 주도, 군사기밀 삭제 지시 의혹 등을 받는데, 관련 혐의에 대한 소명이 상당 부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관계 기관 실무자급을 불러 '혐의 다지기'에 주력해온 검찰은 부서장 등 간부급 조사에 이어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주요 피의자 조사에도 시동을 걸 전망입니다.

조사 결과에 따라 향후 노영민 전 비서실장을 비롯한 문재인 정부 청와대 고위 관계자들까지 수사망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장효인입니다. (hijang@yna.co.kr)

#서해_공무원_피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두번째 유튜브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