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물가 대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마트치킨 인기가 치솟고 있다.
12년 전과 똑같은 가성비 치킨 등장에도 당시와 현재의 분위기가 다른 건 고물가 속에서도 저렴한 치킨을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목소리에 힘이 실렸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단발성 대책으로 높은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리겠다는 것 자체가 허황된 목표라고 지적한다.
고물가에 시름하는 국민들을 위해 정부는 단발성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물가안정 대책을 내놓는 데 더욱 매진해야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마트치킨 인기가 치솟고 있다. 한 마리에 6990원인 홈플러스의 '당당치킨'은 맛도 기존 후라이드 치킨과 차이가 없어 '오픈런(문 열자마자 달려가 구매하는 것)'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대형마트 업계는 2010년 롯데마트에서 최저가 치킨을 내놓았을 때 한바탕 홍역을 치른 바 있다. 롯데마트는 당시 1마리에 5000원인 '통큰치킨'을 선보였으나 대기업 횡포, 골목상권 침해 등 이유로 프랜차이즈 업계는 물론 정치권의 엄청난 질타를 받아 일주일 만에 판매를 중단했었다.
그러나 그때와 지금은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정치권이나 프랜차이즈 업계에서도 원색적인 비난이나 집중포화는 찾아보기 어렵다. 치솟는 물가 속에 소비자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난달 경제고통지수(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는 9.2로 1999년 6월 실업률 집계 기준 변경 이래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역시 최고치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관련돼 있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로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다. 지출 비중이 큰 생활물가는 같은 기간 7.9% 뛰었고, 채소류 가격은 25.9%나 급등했다.
12년 전과 똑같은 가성비 치킨 등장에도 당시와 현재의 분위기가 다른 건 고물가 속에서도 저렴한 치킨을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목소리에 힘이 실렸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추석 민생안정대책'을 내놨다. 성수품 공급량을 늘리고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역대 최대 규모로 공급해 20대 성수품 평균 가격을 지난해 추석 수준까지 내리겠다는 게 목표다.
하지만 이런 대책은 이미 지난 명절에 나온 '재탕' 수준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단발성 대책으로 높은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리겠다는 것 자체가 허황된 목표라고 지적한다. 앞서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수 차례 대책들을 내놨지만 효과적이지 않았다. 고물가에 시름하는 국민들을 위해 정부는 단발성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물가안정 대책을 내놓는 데 더욱 매진해야 한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한덕수 탄핵' 재판관들 의견 갈려…기각 5·인용 1·각하 2 - 대전일보
- 이재명 "국민들, 尹 군사 쿠데타로 잠 못들어…헌재 판결 납득도 의문" - 대전일보
- 한덕수 권한대행 87일만에 복귀… 숨가쁘게 돌아간 정부세종청사 시계 - 대전일보
- "1조원 넘는 돈 풀린다"…세종 스마트국가산단 보상절차 본격 착수 - 대전일보
- 중산층 가계 여윳돈, 70만 원도 안 된다…5년만 최저 - 대전일보
- '한덕수 탄핵' 헌법재판관 엇갈린 판단…기각 5·인용 1·각하 2 - 대전일보
- 반 고흐 展 개막 초읽기…관람객들 "감탄사 절로" - 대전일보
- 여야, 韓탄핵 기각에 공방…"국민이 판단" vs "기록적 패배" - 대전일보
- 최근 6개월 '공동주택 하자' 가장 많은 건설사는 '한화' - 대전일보
- "프로야구 열기 후끈"…'선수 띠부실' 든 크보빵 3일 만에 100만 봉 팔려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