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정점과 날씨 '양치기 예측'의 위험[우보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정 단장의 '고백' 다음 날, 당국은 다시 정점 예측치를 15만명으로 내렸고 지난 10일에는 이를 20만명으로 끌어올렸다.
2월 28일 당국은 정점 예측치를 27만명으로 제시했지만 3월 16일까지 이를 35만명, 37만2000명으로 두 차례 끌어올렸다.
유행 규모를 좌우하는 인구 이동량과 변이 바이러스 확산 양상 등은 시시각각 변하기에 어느 한 시점의 예측이 항상 정답일 수는 없어 재수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뉴스현장에는 희로애락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기사로 쓰기에 쉽지 않은 것도 있고,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 일도 많습니다. '우리가 보는 세상'(우보세)은 머니투데이 시니어 기자들이 속보 기사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뉴스 속의 뉴스' '뉴스 속의 스토리'를 전하는 코너입니다.
"코로나19(COVID-19) 유행 정점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난 3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이 같이 말했다. 방역당국이 8월 정점 예측 규모를 28만명에서 20만명으로 내린 것 관련, 여름 재유행의 정점 규모를 묻는 기자단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그동안 당국은 정점 예측치를 수차례 제시해 왔는데, 공식 브리핑에서 '불가능'이라는 말이 나온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정 단장의 '고백' 다음 날, 당국은 다시 정점 예측치를 15만명으로 내렸고 지난 10일에는 이를 20만명으로 끌어올렸다. 한 달 사이 정점 예측치가 세 번 수정된 셈이다.
이는 오미크론발 유행이 한창이던 2~3월 양상과 비슷하다. 2월 28일 당국은 정점 예측치를 27만명으로 제시했지만 3월 16일까지 이를 35만명, 37만2000명으로 두 차례 끌어올렸다. 이후 예측이 무색하게 일간 확진자 수는 순식간에 40만명을 넘어 62만명까지 치솟았다.
7~8월과 2~3월 예측치 수정에 차이가 있다면, 7~8월 실제 일간 확진자 수는 여전히 예측치에 미치지 못한 반면 2~3월은 실제 일간 확진자 수가 예측치를 훌쩍 뛰어넘었다는 정도다. 예측치가 실제 확진 규모를 정확히 맞추지 못하고 자주 바뀌었다는 점에서 다를게 없다.
유행 규모를 예측하는 당국과 의료계, 수리과학계에도 할 말은 있다. 유행 규모를 좌우하는 인구 이동량과 변이 바이러스 확산 양상 등은 시시각각 변하기에 어느 한 시점의 예측이 항상 정답일 수는 없어 재수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매일 변하는 기상 상황을 예측하는 일기예보와 마찬가지다. 당연히 일기예보도 재수정되고 재수정된 예보조차 틀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유행규모 예측은 일기예보와 달리 '방역 심리'라는 사람으로부터 비롯된 변수까지 감안해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예측 불가 고백이 차라리 솔직했다는 반응이 나온다. 그럼에도 예측은 해야한다. 앞으로의 유행 범위를 대략적으로라도 짐작해야 병상확보 등 기본적 방역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역시 종종 틀리는 일기예보를 그럼에도 해야 하는 이유와 같다. 예측이 없다면 대책 마련도 불가능하다.
하지만, 자주 바뀌는 정점 예측을 바라보는 여론은 이 같은 속사정에 관대하지 않다. "틀린 예측을 토대로 마련된 방역 정책을 믿을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정점 예측을 전하는 기사에 달린 댓글 대다수도 이렇다. 예측치 발표가 '방역 심리'(정책 불신)에 영향을 줘 다시 예측 오차 범위를 키우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강주은 "♥최민수, 이상민 이혼 기자회견 난입"…대신 사과 - 머니투데이
- 한 개에 49만원인데…김광규, 화사가 선물한 명품 컵 '박살' - 머니투데이
- "학비 6000만원인데 공부 싫어" 30대 로스쿨생 혼낸 서장훈 - 머니투데이
- '임창정♥' 서하얀, 결국 병원行…"일 많아 하루 한 끼만 먹었다" - 머니투데이
- '♥손준호' 김소현 눈물 "시모와 19세 차이…아들이 듣고 충격받아" - 머니투데이
- "사랑해줄 수 있냐" 67세 주병진, 13살 연하 맞선녀에 '돌직구' - 머니투데이
- "유재석 말 들을걸"…'수십억 사기 피해' 김성수, 뒤늦은 후회 - 머니투데이
- 관저 앞 6500명 모였다…윤 대통령 지지자 결집, 한남동 일촉즉발 - 머니투데이
- 이재승 공수처 차장, 새벽 4시 출근…영장 집행 준비 중 - 머니투데이
- 인천 초등생 유괴 살인범 "과거 성추행당했다"…옥중 소송 결과는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