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회연구소, 22일 '종교 공존' 주제 학술대회
김갑식 문화전문기자 2022. 8. 17.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소장 원철 스님·사진)가 22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다종교 현상과 종교 공존'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종교 탄압에 대한 여러 관점, 근대 세속주의 사회에서 공공성과 신앙의 공존 문제, 종교 전파 시 발생하는 문화적 긴장 관계 등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종교 상황서 바람직한 대안 모색"
대한불교조계종 백년대계본부 불교사회연구소(소장 원철 스님·사진)가 22일 오후 1시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다종교 현상과 종교 공존’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종교 탄압에 대한 여러 관점, 근대 세속주의 사회에서 공공성과 신앙의 공존 문제, 종교 전파 시 발생하는 문화적 긴장 관계 등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창익 한신대 교수의 ‘종교 탄압에 대한 제 관점―박해와 성인을 중심으로’, 이병욱 고려대 교수의 ‘종교의 전파와 문화적 긴장―동아시아의 불교 수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종우 상지대 교수의 ‘신앙과 충(忠)의 혼재―황사영 백서 사건을 다시 보다’ 등 5편의 연구를 발표한다. 최연식 동국대 교수의 진행으로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문광 스님, 이찬수 보훈교육연구원장,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오용석 원광대 교수가 지정토론을 맡는다.
불교사회연구소는 “불교 전통 성지에 대한 국민적 재인식 작업과 함께 다종교 상황에서 여러 종교가 공존의 지혜를 발휘했던 역사적 사례와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종교 탄압에 대한 여러 관점, 근대 세속주의 사회에서 공공성과 신앙의 공존 문제, 종교 전파 시 발생하는 문화적 긴장 관계 등을 객관적인 입장에서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창익 한신대 교수의 ‘종교 탄압에 대한 제 관점―박해와 성인을 중심으로’, 이병욱 고려대 교수의 ‘종교의 전파와 문화적 긴장―동아시아의 불교 수용 사례를 중심으로’, 이종우 상지대 교수의 ‘신앙과 충(忠)의 혼재―황사영 백서 사건을 다시 보다’ 등 5편의 연구를 발표한다. 최연식 동국대 교수의 진행으로 동국대 불교학술원 교수 문광 스님, 이찬수 보훈교육연구원장, 이병두 종교평화연구원장, 조현범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오용석 원광대 교수가 지정토론을 맡는다.
불교사회연구소는 “불교 전통 성지에 대한 국민적 재인식 작업과 함께 다종교 상황에서 여러 종교가 공존의 지혜를 발휘했던 역사적 사례와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갑식 문화전문기자 dunanworld@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반지하 월세 20만원도 간신히 내… 공공임대주택도 보증금 부담”
- 與, 권성동 원내대표 재신임…주호영호, ‘내홍 수습’ 과제 안고 출범
- [산화]⓪美, 제복과 함께한 수천 촛불… ‘13분 추모식’ 뒤 흩어진 한국
- 재초환-안전진단 규제 완화…민간 도심개발도 용적률 500%
- 檢, 서훈·박지원·서욱 압수수색…‘서해 피격’ 윗선 수사 신호탄
- 尹, ‘쪽지 논란’ 교육비서관 교체…“인적 쇄신, 꼼꼼하고 내실 있게”
- 野 “尹정부 100일, 역대급 무능” vs 與 “국정 운영의 성공 골든타임”
- 충남 부여 실종자 1명 숨진채 발견…이재민 2568명 발생
- 중부는 물폭탄인데 남부는 가뭄…영호남 다목적·용수댐 11곳 ‘가뭄단계’
- 금산-신안 등 4곳 지방소멸대응기금 210억씩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