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70만호 주택공급대책, 구체적 실행방안 마련이 과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어제 부동산 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향후 5년간 주택 270만호 공급을 목표로 한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을 발표했다.
무주택 서민에게는 시세의 70% 이하의 가격에 분양되는 '청년원가주택'과 '역세권 첫 집'이 50만호 공급되며, 반지하 등 재해 취약주택 거주자에겐 공공·민간 임대주택 이주를 지원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건축 규제 완화는 일정만 제시
집값 연착륙 유도 유념해야 할 때
다만 공급대책 청사진만 나왔을 뿐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지 않아 아쉽다. 재건축 규제 완화 방안들은 일정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 재건축 사업의 걸림돌로 꼽히는 재건축 부담금 감면 방안은 다음달에 공개되며, 재건축 안전진단제도 개선안도 연내 발표로 미뤄졌다. 집값을 자극할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추가 신규택지도 발굴·협의하겠다는 수준이다. 수도권 1기 신도시 재정비는 2024년에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러니 알맹이가 없다는 지적을 받는다. 정부가 도심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민간도심복합사업’과 ‘주택공급촉진지역’ 도입 등 새로운 유형의 공급 방식을 제시했지만 실효를 거둘지 의문이 남는다. 이번 공급대책 추진 과정에서 도시정비법·도시복합개발법·재건축초과이익환수법 등이 국회에서 제·개정돼야 하는데 거대 야당의 반대로 난관에 직면할 수도 있다.
결국 정책 방향성에 맞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제시하는 게 과제로 남았다. 민간 참여가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각종 인센티브 등 유인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번 대책이 시장 혼란 등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낳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급선무다. 최근 주택시장이 하향 안정세인 만큼 공급·수요 추이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집값 연착륙 유도에 유념해야 할 때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은지원, 숨겨진 가정사 고백 “아버지 살아생전 겸상도 안 했다”
- “밤에 2번 이상 깨면 위험 신호?…‘이것’ 때문이었다”
- 18만원이 없어서 군대 면제받았는데 지금은 연 55억 버는 男배우
- 13년 만에 밝힌 진실…오정연·서장훈이 직접 공개한 두 사람의 이혼 사유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
- 예비신랑과 성관계 2번 만에 성병 감염…“지금도 손이 떨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