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100억 들인 홍수지도..정작 폭우땐 '먹통'

김대은,송민근 2022. 8. 16. 17: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홍수위험지도 무용지물
홍수취약지역 지도 확대 안돼
본지, 해당코드 분석해봤더니
프로그래밍때 기능 중단시켜놔
환경부 "접속폭주에 일부제한
홍수피해 잠잠해지면 정상화"
클라우드로 서버 확대했어야
왼쪽은 현재 환경부가 제공하는 홍수위험지도를 최대로 확대했을 때 모습이다. 매일경제가 문제의 프로그래밍 코드를 제거한 뒤 지도를 더욱 확대해봤더니 오른쪽 사진처럼 강남역 인근 홍수취약지역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나타났다. [사진 = 홍수위험지도 홈페이지 캡처]
환경부 홍수위험지도를 볼 수 있는 웹사이트에서 지도가 확대되지 않는 것은 해당 기능을 제한하는 프로그래밍 코드를 삽입했기 때문이다. 매일경제가 사이트의 프로그래밍 코드를 직접 분석한 결과 'maxZoom: 10'이라는 부분이 발견됐다. 지도를 확대(zoom)할 수 있는 정도를 최대(max) 10으로 제한한다는 의미다. 또 해당 부분 바로 위에 'maxZoom: 19'를 잠시 넣었다가 뺀 흔적이 발견돼 이는 실수가 아닌 의도적으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매일경제가 직접 해당 코드를 삭제한 뒤 사이트를 재실행해보니 지도가 정상적으로 확대돼 서울 강남역과 신도림역 일대를 비롯해 홍수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환경부가 지도를 제작한 것은 폭우로 벌어질 수 있는 국민의 피해를 과학적으로 대비할 수 있게 하려는 취지다. 하지만 예산 백억 원을 투입해 만든 홍수위험지도가 한때 아예 비공개로 묶인 적이 있다. 집값 하락을 우려한 지역 주민의 민원 때문에 홍수취약지역 지도를 공개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비판이 잇따르자 환경부는 결국 지난해 홍수위험지도를 공개했다. 하지만 올여름 폭우 피해가 본격화된 지난 8일 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해당 사이트가 접속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이후 9일 매일경제가 취재에 들어갔을 때 해당 사이트는 비로소 정상적으로 접속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도 확대 기능 제한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폭우로 해당 사이트 접속량이 폭증하면서 지도 확대 기능을 제한했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16일 환경부 관계자는 "홍수 피해가 잠잠해지면 해당 기능을 다시 정상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홍수 피해 위험이 집중적으로 확대되는 시점에 관련 서비스를 제한하는 것이 과연 취지에 맞느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여름철 홍수 피해가 집중될 수 있는 상황에서 가장 기본적인 서버 용량 부족을 이유로 홍수 피해 예방과 관련된 기능을 중단할 순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경기도 성남시의 한 인공지능(AI) 업체 관계자는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을 도입하면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며 "그런데도 정부는 민간 클라우드 사용을 기피하고 자체 서버 운영을 고집한다"고 비판했다.

[김대은 기자 /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